EMK 2022 파운드포, 자동납땜 로봇 LETHER– α 소개 - 전자신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2월 18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BMW, 콘셉트 XM

WH-1000XM5 무선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

소니의 노이즈 캔슬링 헤드폰이 소니 역대 최고의 노이즈 캔슬링 기술 및 최상의 사운드를 결합하여 아주 놀라운 청취 환경을 구현하는 방법을 확인하세요.

스마트하고 직관적이고 지능적

비행기 소음부터 사람들의 음성까지 멀티 마이크 노이즈 캔슬링 기능이 탑재된 소니의 WH-1000XM5 무선 헤드폰은 그 어느 때보다 많은 고/중 주파수 사운드를 차단합니다. 또한 Auto NC Optimizer로 착용 상태와 환경에 따라 노이즈 캔슬링을 자동으로 최적화합니다.

각 이어컵에 마이크가 4개씩 장착된 드라이버는 노이즈 캔슬링 관련 가장 큰 진전입니다. 주변 소리를 훨씬 더 정확하게 포착하여 고주파수 노이즈를 대폭 줄입니다. Auto NC Optimizer가 착용 상태와 기압 같은 외부 환경 요인에 따라 항상 자동으로 노이즈 캔슬링 성능을 최적화합니다.

소니가 특별히 개발한 통합 프로세서 V1은 HD 노이즈 캔슬링 프로세서 QN1이 지닌 잠재력을 완벽하게 활용합니다. 이러한 고유한 기술 조합은 8개의 마이크를 제어하여 전례 없는 노이즈 캔슬링 품질을 제공합니다.

특수 설계된 30mm 드라이버 유닛은 부드러운 에지를 통해 노이즈 캔슬링을 강화하여 주변 소음 없이 선명하게 음악을 즐길 수 있습니다. 탄소 섬유 복합 소재로 가볍고 매우 견고한 돔을 구현하였으며, 특히 고주파수 대역에서 더 선명한 사운드를 재현합니다.

탄소 섬유 복합 소재를 사용한 가볍고 견고한 돔으로 이루어진 특수 설계된 30mm(정밀 엔지니어링) 드라이버 EMK 2022 파운드포, 자동납땜 로봇 LETHER– α 소개 - 전자신문 유닛은 고주파수 감도를 향상해 더 자연스러운 음질을 구현합니다. 소니 고유의 기술로는 우수한 전도성을 위해 금을 적용한 프리미엄 무연 솔더, 고른 출력 분배를 위한 정밀 사운드 저항기, 신호 대 노이즈 비를 개선하여 선명하고 일관된 사운드를 보장하는 최적화된 회로가 있습니다.

업계에서 채택한 오디오 코딩 기술인 LDAC 덕분에 WH-1000XM5는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와 무선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를 지원합니다. LDAC는 기존 Bluetooth® 오디오보다 약 3배 더 많은 데이터 를 전송하여 탁월한 하이 레졸루션 오디오 음질을 구현합니다.

Edge-AI(인공 지능), DSEE Extreme™을 통해 압축된 디지털 음악 파일이 실시간으로 업스케일됩니다. 악기, 음악 장르와 노래의 개별 요소를 동적으로 인식, 압축 과정에서 손실된 고음역을 복원합니다.

소니의 정밀한 음성 선별 기술은 4개의 빔포밍 마이크와 AI 기반 노이즈 감소 알고리즘을 통해 음성을 세밀하게 분리합니다. 새롭게 개발된 바람 소리 감소 구조가 통화 중에 바람 소리를 최소화합니다. 어디에 있든 항상 선명하게 들리고 들을 수 있습니다.

4개의 빔포밍 마이크가 장착된 이 헤드폰은 사용자의 음성만을 포착하도록 보정됩니다. 향상된 신호 대 노이즈 비로 주변에 소음이 많은 경우에도 모든 단어를 선명하게 포착합니다.EMK 2022 파운드포, 자동납땜 로봇 LETHER– α 소개 - 전자신문

정밀 음성 선별 기술과 진보한 오디오 신호 처리 기술이 탑재되어 시끄러운 곳에서 말하는 소리도 상대방이 선명하게 들을 수 있습니다. 소니의 노이즈 감소 알고리즘은 5억 개 이상의 음성 샘플을 이용한 AI 머신 러닝을 통해 개발되어 다양한 환경에서 주변 소음을 억제하고 사용자의 목소리를 선명하게 추출합니다.

1 = 노이즈 있음
2 = 노이즈 없음

이 가벼운 헤드폰은 새롭게 설계된 ‘소프트 핏 가죽’으로 멋지게 마감되었습니다. 이 소재는 외부 소리를 차단하면서 귀에 부담을 주지 않으면서 머리에 딱 맞습니다. 무단계 슬라이더, 매끄러운 스위블 및 행거로 구성된 소니의 노이즈 없는 디자인으로 WH-1000XM5를 착용하는 것이 즐거워집니다.

적응형 사운드 제어는 사용자가 어디에 있으며 무엇을 하는지 감지하는 스마트한 기능으로 주변 소음 설정을 조절해 이상적인 청취 환경을 조성합니다. 활성화되면 사용자의 행동을 학습하고 직장, 단골 카페와 같이 사용자가 자주 방문하는 위치를 인식하여 상황에 맞게 사운드를 조정합니다.

대화를 시작하면 Speak-to-Chat이 자동으로 음악을 중지하고 주변 소리를 들려줍니다. 헤드폰을 계속 착용하고 싶거나 핸즈프리로 대화하고 싶은 경우 편리합니다. 스마트한 이 기능은 헤드폰에 내장된 마이크와 고급 오디오 신호 처리 기술을 통해 사용자의 음성을 인식하고 이에 대응합니다. 대화가 끝나면 음악이 자동으로 이어서 재생됩니다.

Quick Access를 통해 탭 몇 번만으로 헤드폰을 구성하고 Spotify에서 음악을 다시 재생할 수 있어 스마트폰을 터치할 필요가 없습니다.

헤드폰을 벗기만 하면 음악 재생이 중지됩니다. 정전용량형 센서는 헤드폰 착용 여부를 감지합니다. 정확도 감지 및 설계를 개선하는 데에도 도움이 됩니다. 헤드폰을 다시 착용하면 음악이 다시 시작됩니다.

핸즈프리 지원을 제공합니다. "Hey Google" 또는 "Alexa"라고 말하기만 하면 선호하는 음성 지원 기능을 활성화할 수 있습니다. 음악을 듣고, 친구와 소통하고, 알림을 받고, 미리 알림을 설정하는 등 다양하게 활용하세요. 음성으로 노이즈 캔슬링 등 헤드폰 기능도 제어할 수 있으며 , Google 어시스턴트 또는 Siri를 사용하여 Microsoft Outlook에서 이메일 내용을 듣고 회신할 수 있으며, Microsoft Teams 미팅에 참여할 수도 있습니다.

헤드폰으로 녹음한 음압 데이터를 세계보건기구(WHO)의 가이드와 비교하여 얼마나 안전하게 음악을 듣고 있는지 확인하세요. 청취 레벨이 너무 높으면 OS 알림을 받게 됩니다.

2022년 XM 그룹 개요

비주얼 IT

부가서비스

서비스 안내

패밀리 미디어

[EMK 2022] 파운드포, 자동납땜 로봇 'LETHER–α' 소개

Photo Image

파운드포는 4월 13일(수)부터 15일(금)까지 서울 삼성동 코엑스에서 개최되는 '2022년 한국전자제조산업전 및 오토모티브월코리아(EMK 2022)'에 참가해 자동납땜 로봇 'LETHER–α'를 선보였다.

파운드포 관계자는 "LETHER-α는 6축을 동시에 제어하므로 신속하게 양질의 납땜을 확보, 제품의 안정을 기하는 납땜 전용 Auto Soldering Robot이다"라며 "납땜 분야의 축적된 Know-How로 다양한 산업 현장의 제품들을 최고 수준의 기술력으로 충족시키고 있으며, Global 시대의 요구와 고객의 소리를 적극적으로 수용하고자 Soldering Technology 산업에 이어 Display Soultion 산업에도 매진하고 있다"고 말했다.

한편, 한국전자제조산업전은 국내 최대 규모의 전자 제조 관련 전시회로 국내 뿐 아니라 해외에서도 많은 관심을 받아오며, 명실상부한 국제 전시회로 성장하였다. 올해는 국내 SMT, 반도체 및 전기/전자 제조 설비를 제공하는 대표기업인 ㈜인터켐코리아와 SMT 칩마운터 제조사인 일본의 FUJI CORPORATION이 메인 스폰서로 참여한다. 2017년부터 ‘한국자동차전장제조산업전'과 동시 개최하였으나 2022년부터는 기존 전장 뿐 아니라 친환경 자동차 제조, 자동차 경량화 등 자동차 제조 전시회로 그 범위를 확대해 오토모티브월드코리아로 개최될 예정이다. 전자 제조 및 자동차 제조 산업의 다양한 신기술과 장비를 확인할 수 있는 이번 행사에서는 다양한 세미나와 부대행사도 전시 기간 중 진행될 예정이다.

2022년 XM 그룹 개요

잠깐! 현재 Internet Explorer 8이하 버전을 이용중이십니다. 최신 브라우저(Browser) 사용을 권장드립니다!

차량검색은 Ctrl + F를 누르면 검색이 가능합니다.

  • 박홍준 0 -->
  • 좋아요 0
  • 승인 2021.12.03 14:57
  • 기사공유하기
  • 프린트 메일보내기 -->
  • 글씨키우기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 가나다라마바사

    BMW와 닛산이 전기차 시장에서 오랜 공백을 깨고 반격에 나선다. i3와 리프를 앞세워 전기차 시장을 개척한 이들이었지만, 최근 수년간 침묵을 지켜온 브랜드들이다. 그간 경쟁자들이 벌려놓은 격차를 메꾸기 위해 한층 공격적인 자세로 신차와 투자금을 쏟아붓기 시작했다. 이른바 '원조의 역습'이다.

    올해 BMW는 i3 이후 7년여만에 새로운 전기차를 출시했다. 보다 다양한 선택지를 제공한다는 '파워 오브 초이스' 전략을 기반으로 기존 내연기관 라인업에 전기차를 몰아넣었다. 지난해까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에 주력해왔던 것과 사뭇 다른 양상이다.

    회사는 오는 2023년까지 순수전기차 13종 출시를 공약했다. 올해 iX, i4 iX3 부분변경 등 3종의 전기차가 투입됐고, 향후 2년간 10종을 더 선보일 계획이다.

    2022년 BMW 전동화 타깃은 세단 라인업이다. 3·5·7시리즈 기반 전기차 출시가 예고된 상태이며, 출범 EMK 2022 파운드포, 자동납땜 로봇 LETHER– α 소개 - 전자신문 50주년을 맞는 고성능 M 브랜드의 순수 전기차 공개도 유력하다. 풀 체인지를 앞둔 차세대 X1 기반 전기차 출시도 확정됐다.

    BMW그룹 산하 브랜드도 공격적이다. 미니는 2030년부터 오직 전기차만 판다. 롤스로이스는 2023년 첫 전기차 '스펙터'를 시작으로 10년 내 순수전기차 브랜드로 전환한다. BMW그룹은 오는 2030년 전동화 판매 누적 1000만대를 목표로, 향후 전체 판매량의 50%를 전기차와 플러그인 하이브리드로 채울 계획이다.

    # '와신상담' 닛산, 2030년까지 전기차 15종 투입

    닛산도 2010년 리프에 이어 10여년 만에 다시 대대적인 투자를 이어간다. 2022년부터 향후 5년간 2조 엔(한화 21조원)을 전동화 부문에 투자하고, 주요 시장에서 전기차 판매 비중을 끌어올릴 계획이다.

    닛산 우치다 마코토 CEO는 지난달 말 브랜드 전동화 전략 발표 자리에서 "경쟁자들보다 10년 이상 앞서있는 전동화 노하우를 적극 활용해 전기차 전환 속도를 높이겠다"고 강조했다.

    회사는 내년 상반기 전기SUV 아리야를 시작으로 본격적인 신형 전기차 출시를 이어갈 방침이다. 상용 전기차 NV200e를 제외하면, 1세대 리프 출시 이후 무려 11년만에 출시되는 승용 전기차다. 이후 2030년까지 인피니티 브랜드를 포함해 15종의 새로운 전기차를 내놓는다.

    자체 배터리 공급망을 확보하는 '배터리 내재화' 계획에도 속도를 높인다. 2025년에는 미국과 유럽에 배터리 재활용 시설을 건설하고, 2028년부터 코발트가 함유되어있지 않은 배터리를 양산해 원가 경쟁력을 확보할 방침이다. 이어 2030년까지 130GWh 규모 자체 배터리 생산 능력을 갖추겠다는 입장이다.

    차세대 배터리로 주목받고 있는 전고체 배터리 연구도 본격화한다. 2024년 일본 요코하마에서 시험 생산에 돌입하고, 2028년 전고체 배터리를 탑재한 첫 양산형 전기차 출시를 공약했다. 이는 얼라이언스 관계인 르노그룹(2030년 출시)보다 2년이나 앞선다.

    권역별 판매 목표치도 구체적으로 소개했다. 2026년(회계연도 기준)까지 유럽 시장의 75%, 일본 시장의 55%를 전기차로 채울 계획이다. 미국에서도 2030년까지 전체 판매량의 40%를 전기차로 충당한다.

    전기차 시장에서 테슬라를 선두로 폭스바겐그룹과 현대차그룹 등의 치열한 추격전이 펼쳐지는 가운데 과연 BMW와 닛산이 어떤 존재감을 드러낼지는 지켜볼 일이다.

    “M카만 나온다!”..BMW, ‘V8 PHEV’ 콘셉트 XM 2022년말 양산 예고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 데일리카 안효문 기자 ] BMW가 고성능 플러그인 하이브리드(PHEV)를 표방하는 콘셉트카 '콘셉트 XM'을 30일(한국시각) 공개했다. 콘셉트 XM은 2022년말 양산될 예정으로, BMW 고성능 브랜드 ‘M' 전용으로 개발될 전망이다.

    BMW가 ‘M’브랜드 전용 차량을 선보인 건 이번이 두 번째다. 콘셉트 XM은 M1 이후 고성능 ‘M카’로만 개발된 차다. 신차는 V8 가솔린 엔진을 기반으로 한 PHEV 시스템은 최고출력 750마력, 최대토크 약 101.7㎏f·m 이상 고성능을 자랑한다. 근간이 되는 엔진은 기존 M5에 탑재된 V8 4.4ℓ가 유력하지만, 독일 현지언론들은 배기량이 다른 신형 엔진의 장착 가능성도 언급한다.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전면부는 거대한 두 개의 키드니 그릴이 압도적인 인상을 자아낸다. 여기에 두 개의 모듈로 구성된 헤드램프는 후드 경계선에 위치해 아슬아슬한 긴장감을 준다. 완만한 지붕선은 쿠페형 SAV X6를 연상케 하지만, 각진 어깨선과 실루엣은 X7에 더 가깝다는 평도 나온다.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콘셉트 XM은 PHEV 단일 파워트레인으로 개발되며, 양산차도 동일할 것으로 알려졌다. 괴물같은 성능 외에도 기름 소비 없이(전기차모드) 30마일(약 48㎞) 주행 가능할 정도로 친환경성도 갖췄다고 회사측은 강조했다.

    BMW 콘셉트 XM


    BMW, 콘셉트 XM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