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향 추세 반전 확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3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하향 추세 반전 확인

수의사 선배님들과 사석에서 이야기하다보면 ‘개원가의 경기상황이 수의사 한 명 한 명의 삶에 미치는 영향이 생각보다 컸구나’ 하는 걸 느낄 때가 있습니다.

“2002 월드컵 전후로 동물병원 붐이 일어나면서 공무원 하던 수의사들이 한꺼번에 임상가로 유출돼, 그때 떠나지 않고 자리를 지키고 있던 사람들은 빠르게 승진했다” 라는 이야기라든지 “2008년 즈음엔 세계 금융위기로 경기가 위축되면서 병원들이 어려워지고 주요 일간지엔 버려지는 반려동물이 사회적 문제로 나오기 시작했다”는 이야기처럼 말이죠.

여러 사람들의 견해를 모아 생각해보면, 예전에는 확실히 경제 상황과 임상가의 분위기가 일치했던 것으로 보이는데요. 지금은 상황이 좀 달라진 것 같습니다.

경제 불황에도 성장을 지속하는 분야로 반려동물 산업이 주목받는가 하면, 최근 몇 년 간 봉직수의사의 임금 수준이 빠르게 상승하고 있습니다.

“수도권에는 더 이상 개원할 수 있는 자리가 없다”는 이야기가 예전부터 들려왔지만, 여전히 수도권에는 신규 개원이 지속적으로 이어지고 있죠.

거시적인 경제 상황과 동물병원 경기가 서로 다른 양상을 나타내는 탈동조화(Decoupling) 현상이 실제로 일어나고 있는 걸까요?

아니면 수의사들의 상황 인식이 지나치게 긍정적 혹은 부정적이었던 걸까요?

신규 개원이 지속되면서도 봉직수의사의 임금이 상승하는 현재의 추세는 과연 언제까지 계속될까요?

수의학의 꽃이 임상이라면, 데이터 분석의 꽃은 예측 분석(Predictive Analytics)이라고 할 수 있습니다. 여기서는 우리나라 동물병원 개원 인허가 자료로부터 시계열 모델을 구축해 과거의 전체적인 추세를 살펴보고, 향후 몇 년 간의 예측을 시도해보려고 합니다.

시계열 분석과 Facebook Prophet의 이론적 배경

시계열 분석/예측이란 과거에 시간의 흐름에 따라 기록된 데이터를 분석하고,’ 과거의 데이터 패턴(pattern)이 미래에도 지속적으로 유지된다’는 가정 아래 미래에 대한 예측(forecast)을 하는 것입니다.

주식이나 코인 가격의 장기적 추세를 나타내는 추세선 역시 이동평균법, 지수평활법 등 시계열 분석 방법론을 활용해 도출해낸 것입니다.

시계열 예측은 금융계뿐만 아니라 여러 산업군에서 수요 예측, 재고 관리, 이상 탐지 등에 활용될 수 있지만 실제 활용사례는 그렇게 풍부하지 않습니다.

시계열 데이터/모델 자체가 일반 데이터/모델과는 다른 특수한 성질을 가지고 있어, 특정한 산업군에 대해 전문 지식을 가진 사람이 시계열 데이터/모델링에까지 전문적인 지식을 갖추고 통계 모델을 튜닝해 쓰기는 어렵기 하향 추세 반전 확인 때문입니다.

이런 현업의 문제를 극복하기 위해, 일련의 페이스북 엔지니어들은 전반적인 성능이 우수하고 모델 튜닝이 간편한 Facebook Prophet을 오픈소스 프로젝트로 공개했습니다.

이듬해 열린 세계적인 데이터분석 대회에서 대기 중 미세먼지 농도를 예측하는 문제가 출제되었는데, 몇몇 상위권 랭커들이 날씨 예보 정보를 전혀 사용하지 않고도 과거 시계열 미세먼지 농도와 Prophet만으로 좋은 성적을 거뒀음이 알려지며 분석가들에게 주목받게 되었죠.

Prophet 역시 다른 시계열 모델과 마찬가지로 구성 컴포넌트에 대한 이해와 파라미터 조정을 통한 모델 튜닝이 중요합니다만, 수학적 모델 설명이 본 글의 주제는 아니니 생략하겠습니다.

(Prophet 자체에 대한 원문 설명과 프로젝트 개발자의 견해는 https://peerj.com/preprints/3190.pdf 에서 확인하실 수 있습니다.)

지난 20년간 두 번의 고점과 한 번의 저점이 왔다

동물병원 개업 데이터로부터 시계열 모델을 구축하고 시각화한 결과는 위와 같습니다.

가로축은 연도, 세로축은 당해 새로 개원한 동물병원 개소수를 나타냅니다. 그래프의 검은색 점은 실제 데이터포인트, 파란색 선은 모델이 예측한 값, 하늘색 밴드는 신뢰수준 80%의 예측값 범위를 나타냅니다.

데이터로 볼 때 2002년은 정말로 ‘동물병원 개원 붐’이라는 표현이 적절하다고 느껴질 정도의 상승세를 보여줍니다. 1999년 분기당 50개소 수준이던 신규 동물병원은 불과 4년 뒤인 2003년 초에는 거의 분기당 170개소씩 생겨납니다.

하지만 그 때가 역사적 고점이었습니다. 바로 이듬해인 2004년부터 신규 개원 추세는 반전되어 올라갈 때와 비슷한 경사로 내려갑니다. 세계금융위기가 우리나라를 덮친 2008년 초가 되면 개원 붐이 시작되던 수준인 60개소 선으로 돌아갑니다.

이때 저점을 찍고 다시 추세는 전환됩니다. 이후로 개원은 완만하게 증가하다가, 2017년 두 번째 고점을 찍고 다시 완만한 하향 추세를 보입니다. 그리고 2022년 초 현재 개원은 분기당 70개소 선으로 내려가며 14년 전의 저점에 근접하고 있는 상황입니다.

폐업 데이터의 경우 개업 데이터와 약간의 시간차를 두고 움직입니다.

위 그래프에서 세로축은 당해 폐업한 동물병원 개소수이며, 빨간 화살표는 왼쪽부터 각각 개업 데이터의 고점, 저점을 표시합니다.

개원 증가와 더불어 빠르게 증가하던 폐업은 2006년에 분기당 70개소 수준으로 역사적 고점을 찍고, 상승세보다는 완만하게 하락해 2012년 분기당 35개소 수준으로 저점을 기록한 뒤, 다시 2018년에 분기당 50개소 수준으로 추세상 고점을 기록합니다.

이후로 지속 하락해 분기당 30개소 수준으로 하향 추세 반전 확인 10년 전 저점인 2012년도보다도 낮아지고 있습니다.

특정 기간 개업수에서 폐업수를 빼면 당기 동물병원 개소수의 순증감(Y축)을 볼 수 있는데요. 2003년의 대호황, 2008년을 전후로 한 경제위기를 여전히 확인할 수 있습니다.

개폐업 데이터를 종합해 최근의 추세를 보면, 2014년 이후 개원가는 분기당 40개소 수준의 동물병원 증가가 유지되는 안정적인 추세를 보이고 있습니다.

개업 자체는 서서히 감소하고 있지만 개업 감소세보다도 좀 더 가파른 폐업 감소세가 순증감을 ‘떠받치고 있다’고 해석할 수 있습니다.

시계열 모델은 2024년까지 현재의 안정 추세가 이어질 것으로 본다

과거 데이터로 시계열 모델을 구축하고 나면, 특정 시점의 미래 데이터도 예측할 수 있습니다. 동물병원 개소수 순증감 시계열을 확장해 향후 3년간의 예측을 그리면 아래 그래프와 같습니다.

2021년 4/4분기의 실제 동물병원 순증감수는 37, 하향 추세 반전 확인 모델의 예측값은 38.49620인데요. 이후 2022년 4/4분기 예측값은 37.79060, 2023년 36.85407, 2024년 35.91498로 나타나며 신뢰구간의 상하한선 역시 각각 65, 10 수준에서 크게 발산하지 않습니다.

즉, 시계열 모델은 현재의 안정 추세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고 있습니다.

동물병원 인접 산업군의 상황은

그렇다면 동물병원 인접 산업군의 상황은 어떨까요? 동물병원과 마찬가지로 동물판매업, 동물미용업, 동물약국의 기간별 순증감 시계열 자료를 추출해 향후 3년간의 추세를 예측한 결과는 다음과 같습니다.

우선 동물약국입니다.

동물약국 데이터에서는 2004년의 일시적인 동물약국 붐을 확인할 수 있고, 2013년 수의사처방제 시행 및 수의사-약사 직역간 갈등양상 이후 동물약국 개소수 순증 추세가 더욱 가속되고 있음을 확인할 수 있습니다.

우리나라에서 영업중인 동물약국 개소수는 2018년경 이미 동물병원 개소수를 추월(>4800)했으며, 2024년까지 더욱 늘어날 것으로 예상됩니다.

다음은 동물판매업입니다.

2008년 동물보호법상 동물판매업 등록제가 시행된 이후, 2012년까지 성장세를 보이다가 이후로 성장세가 둔화되었습니다.

2016년을 분기로 추세 반전해 2019년 이후 일부 구간에서는 영업중인 사업체 수가 감소하는 등의 부침을 겪고 있습니다.

현재 추세가 이어질 경우 동물판매업은 2023년 이후 마이너스 성장을 기록할 것으로 보입니다.

동물미용업의 경우 비교적 최근인 2018년부터 동물관련영업에 동물미용업이 신설된 이후 하향 추세 반전 확인 지속 하락세를 나타내고 있습니다.

가용데이터 제한으로 인해 예측치의 신뢰구간이 발산하고 있어 조심스럽지만, 2024년경 동물미용업장의 증가 수준은 2020년의 절반이 될 것으로 보입니다.

본 분석의 목적은 ‘내년도 1/4분기 동물병원 개원 숫자를 오차없이 예측하겠다’가 아니라 ‘시계열 모델링을 동물병원 관련 데이터에 이렇게 활용해볼 수도 있다’인 만큼, 예측 결과는 가벼운 마음으로 참고해 주시길 바랍니다.

원자료로는 [행정안전부 지방행정인허가데이터셋]을 활용했으며, 전처리 방법과 모델 튜닝의 세부사항에 따라 예측 결과 및 성능은 다르게 나타날 수 있습니다. 감사합니다.

*아이엠디티 데이터랩(iamdt d.LAB)은 벳아너스 얼라이언스의 EMR 데이터와 각종 통계 데이터를 바탕으로 동물병원 경영과 반려동물 산업에 도움이 되는 인사이트를 도출합니다(문의 [email protected]).

지지와 저항 레벨: 기술적 분석

기술적 분석에서 추세의 최저 값과 최고 값은 각각 지지, 저항 수준이라는 적절한 이름으로 식별됩니다. 이 수준은 대부분의 거래자들이 자산을 사거나 팔고자 하는 영역입니다.

지지 레벨(수준)은 매수 이자가 높고 매도 압력을 초과하는 지역을 나타냅니다. 이 수준에서 가격은 롱 포지션을 취하기에 아주 매력적인 가격으로 여겨지고, 대부분의 거래자들은 가격이 지지 레벨에 근접하면 자산을 매수합니다.

저항 수준은 매도 관심도가 높고 매수 압력을 초과하는 영역을 나타냅니다. 거래자는 하향 추세 반전 확인 가격이 이 영역에 접근 할 때 숏 포지션을 취하고 자산을 매도하려고 합니다.

거래 시작 전 테스트 하기

지지선과 저항선 그리는 방법

지지/저항 레벨은 추세를 식별하고 거래 결정을 내리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 분석의 필수 부분입니다. 지지/저항 레벨은 추세를 확인 및 테스트를 하며, 기술적 분석을 사용하는 트레이더가 이 수준을 적용합니다.

지지 레벨은 이전 저점을 연결하는 선으로 표시됩니다. 주요 추세 (우세한 가격 변동 방향)에 따라 경사진 선 또는 수평선으로 표시 될 수 있습니다.

  • 상승 추세에서 저점을 연결하는 추세선은 양의 기울기를 갖는 지지로 간주됩니다
  • 보합 추세(sideway trend)에서 하위 추세선은 수평 지지로 간주됩니다. .

저항 레벨은 이전 최고 값을 연결하는 선으로 표시됩니다. 주추세(primary trend)에 따라 저항 레벨을 경 사진 선이나 수평선으로 표시 할 수도 있습니다.

상승 추세를 식별하려면 각각의 연속적인 지지 수준이 이전 수준보다 높아야하며 각 연속 저항 수준도 이전 수준보다 높아야합니다. 그렇지 않은 경우 예를 들면, 지지 레벨이 이전의 최저 수준으로 하락할 때, 이는 상승 추세가 종료되거나 적어도 보합 추세로 변경됨을 나타냅니다.

반대로 하향 추세를 식별하려면, 각 연속적인 지지 레벨이 이전 수준보다 낮아야하고 각 연속적인 저항도 이전 수준보다 낮아야합니다. 지지 레벨이 이전 수준보다 높아지면 기존 추세의 변화를 나타냅니다.

연속적인 높은 최고점과 낮은 최저점이 연속적인 낮은 최고점과 낮은 최저점으로 바뀌면 상승세는 하락세로 반전되는 경향이 있습니다. 반대로 낮은 최고점과 낮은 최저점이 연속적으로 높은 최고점과 높은 최저점으로 바뀌면 하락세는 상승세로 반전 될 수 있습니다. 즉, 저항 레벨이 지지 레벨이되고, 지지 레벨이 저항 레벨이 됩니다.

기술적 분석에서 지지/저항 레벨에서의 이러한 종류의 반전을 "랠리(rally)", "조정(correction)" 또는 "추세 역전(trend revsersal)"이라고합니다.

  • 지지 레벨이 아래로 떨어질 경우, (추가로 특정 편차가 생길 수 있음) - 투자자는 가격이 계속 하락한다고 가정 할 수 있습니다. 이전의 지지는 랠리를 유지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저항 수준이 되었습니다.
  • 저항 수준이 위를 상회하는 경우, (추가로 특정 편차가 생길 수 있음) - 투자자는 가격이 계속 상승할 것이라고 가정 할 수 있습니다. 이전의 저항은 하락할 것으로 예상되는 새로운 지지 수준이되었습니다.

자산 가격이 지지와 저항 수준 사이에 머물러 있는 한 이러한 추세는 계속될 것으로 예상됩니다.

지지와 저항 거래 전략

지지 레벨의 근거는 가격이 이 영역에 가까워질수록 매수자는 더 나은 거래를 보고 기꺼이 구매하는 반면 매도자는 더 나쁜 거래를 보고 판매를 덜 하려고 한다는 것입니다. 그러나 지지가 항상 가격을 유지할 수는 없습니다. 그리고 가격이 지지 수준 아래로 떨어지면 매도인이 자산을 판매할 수 있는 좋은 기회가 있음을 나타냅니다.

반면에 저항의 주요 전제는 가격이 저항 수준에 가까워질수록 매도자들은 자산을 매도할 의향이 더 커지는 반면 매수자는 매수 의향이 적어집니다. 저항선 위의 돌파는 매수 의향이 커졌음을 나타냅니다.

지지 수준과 저항 수준 사이의 반전은 일반적인 추세에 비해 긍정적이거나 부정적인 변화 일 수 있습니다. 이러한 패턴의 신호에 따라 동일한 보안에 대한 거래 전략을 채택하기 때문에 분석가 및 시장 참여자에게 중요합니다.

증권가, 7월 코스피 2,200까지 추락할수도…"추세전환 어려워"

증권가, 7월 코스피 2,200까지 추락할수도…

(서울=연합뉴스) 이미령 기자 = 경기 침체 우려에 지난달 급락했던 코스피가 이달에는 2,200대까지 내려갈 수도 있다는 비관적 전망이 나오고 있다.

1일 금융투자업계에 따르면 증권사들의 7월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밴드)는 신한금융투자 2,200∼2,500, KB증권 2,230∼2,450, 한국투자증권 2,250∼2,500, 키움증권 2,250∼2,550, 케이프투자증권 2,250∼2,520, 교보증권 2,350∼2,650 등이다.

코스피는 지난달 미국의 물가 급등과 연방준비제도(Fed·연준)의 자이언트스텝(한 번에 기준금리 0.75%포인트 인상) 단행, 이에 따른 경기 침체 우려 등으로 2,300대까지 추락했다.

증권사들은 경기 침체 우려 지속, 기업 이익 하향 조정 등으로 7월에도 코스피가 변동성을 키울 것으로 보여 추세 반전을 기대하기는 어렵다고 진단했다.

김형렬 교보증권 리서치센터장은 "6월에는 예상보다 강력한 긴축 통화정책 등장으로 위험자산 기피 심리가 최고조에 달했다"며 "월말에 하락 폭을 만회하려는 시도가 있었으나 추세 전환 등 의미를 부여하기는 쉽지 않아 보인다"고 진단했다.

이어 "7월 주식 시장은 비이성적 반응으로 추락한 주가가 적정가치 수준으로 복원하는 정도의 반등 장세를 기대한다"며 "주가 회복을 지지하는 펀더멘털(경제 기초체력)의 지원은 제한적일 것"으로 내다봤다.

7월 코스피 밴드 하단을 2,200으로 가장 낮게 제시한 노동길 신한금융투자 연구원은 "코스피 기업의 이익 하향 조정이 7월부터 본격화될 전망이어서 이익을 중심으로 한 밸류에이션(실적 대비 주가 수준)은 신뢰성을 갖기 어렵다"며 "후행 주가순자산비율(PBR) 관점에서 0.9∼1.0배 구간 등락을 기대할 만하다"고 설명했다.

김대준 한국투자증권 연구원은 "미국 경기 둔화에 유럽과 일본의 통화 긴축으로 달러 강세는 진정될 것"이라며 "매크로(거시 경제)와 수급 변화를 고려해도 시장은 급락보다 현재 수준에서 등락을 반복하는 흐름을 보일 것"이라고 평가했다.

그는 그러나 "시장 대응은 여전히 지수가 아니라 업종"이라며 "중기적으로 지수에 대한 분할 매수는 가능하지만, 성과 확인까지 시간이 걸린다"고 짚었다.

지난달 국내 증시 낙폭이 컸던 원인으로 지목되는 신용거래와 차액결제거래(CFD) 반대매매가 이달에도 증시 하방 압력을 높일 수 있다는 지적도 나온다.

나정환 케이프투자증권 연구원은 "밸류에이션 축소에 따른 증시 조정은 막바지에 이르렀다"면서도 "신용융자잔고가 여전히 높은 수준을 기록하고 있어 증시가 추가 하락하면 하방 변동성을 확대하는 요인으로 작용할 수 있다"고 지적했다.

[그래픽] 주요 증권사 7월 코스피 예상 등락 범위

(서울=연합뉴스) 원형민 기자 = [email protected] 페이스북 tuney.kr/LeYN1 트위터 @yonhap_graphics

주식 - 17. 지지와 저항의 특성

상승추세의 저항은 일단 추세가 잠시 쉬는 것을 의미합니다. 저항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추세가 끝나간다는 초기경고이며 지지수준 조차 무너지면 추세는 반전됩니다.

32만원까지 상승한 주가는 27만원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반전하여 38만원까지 오른 뒤 저항을받게 됩니다. 이후 동일한 가격대에서 지지와 저항을 반복하다가 27만원의 지지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이후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지지가 무너진 이후 주가는 단 한번의 지지발생 없이 12만원까지 무너졌습니다. 거래량을 보면주가가 무너지는 동안 급증하였는데 이는 대규모 물량을 보유하고 있는 세력의 물량털기가 진행되었다는 증거로 추정됩니다. 이로 인해 바닥확인후 주가의 상승전환시 매물부담이 많아서상승폭이 크지 못할 것입니다. 그 다음의 대량거래 분출은 바닥을 확신하는 매집물량입니다. 상승추세에서 지지가 무너지는 시점은 매도시점이고 반드시 거래량과 보조지표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2. 하락추세의 추세전환

하락추세의 지지 역시 추세가 잠시 쉬는 것입니다. 하락추세에서 추세반전은 진행중인 추세의지지수준이 극복되면 새로운 추세를 알리는 조기신호이며 저항수준조차 뛰어 넘는다면 비로서추세는 반전됩니다.

하락추세대의 주가는 2000년 5월 첫 번째 지지를 확인한 후 1년이 넘는 지루한 박스권을 형성하였습니다. 수없이 지지와 저항이 반복되다가 2001년 6월 주가는 저항을 돌파하려고 합니다.

거래량을 보면 역시 박스권 상단 즉 저항에 닿을 때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그리고 보조지표들도 그때마다 과열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5000원의 지지와 8000원의 저항을 반복하던 주가는 결국 2001년 6월 저항을 상향돌파하면서추세전환을 이루었습니다. 이후 주가는 저항수준까지 조정을 받지만 '어제의 저항은 오늘의 지지'가 되어 재상승합니다.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일단 저항을 상향돌파한 후 조정시 주가는 저항에서 지지를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이를 되돌림현상(Pull-back Effect) 이라고 합니다. 마찬가지로 상승추세에서 지지를 하향돌파하는 주가는 지지까지 올라오다 저항을 받고 다시 하향하기도 합니다. 하락추세에서 저항이 뚫리는 시점은 매수시점이고 마찬가지로 거래량과 보조지표를통한 확인은 필수작업입니다.

2) 지지와 저항에서의 투자자 매매심리

지지와 저항이 하향 추세 반전 확인 챠트상에 존재하고, 이것이 시장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심리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즉 투자자들의 실제활동을 볼 수 있고, 시장움직임에 대한 그들의 대응을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챠트분석은 투자자 매매심리와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투자자는 매수그룹, 매도그룹, 관망그룹의 세분류로 구분됩니다. 그리고 가격변동이 심한 시장에서 지지수준에서 상승이 시작했다고 가정할 때 세그룹의 매매심리를 알아볼까요?

매수후 주가 상승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매수물량이 적은 것을 안타까워할 것입니다. 만약 시장이 지지수준으로 일시 하락한다면 적극적으로 매수할 것입니다

자신의 실수를 후회하며 매매전략을 의심할 것입니다. 기회수익의 상실을 배아파하며 매도시점까지 빠지기를 체크하거나 이 종목을 잊을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아무런 포지션도 취하지 않은 예비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일정 방향을 확인하고 나서 전략을 취할 것입니다.

만약 상승장세에 지지수준에서 추세반전하였다면 세그룹의 매매심리는 반대로 나타날 것입니다.

1. 상승추세에서 주가가 저항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추세가 끝나간다는 초기경 고이며지지수준 조차 무너지면 추세는 반전된다.

2. 하락추세에서 추세반전은 진행중인 추세의 지지수준이 극복되면 새로운 추세를 알리는조기신호이며 저항수준조차 뛰어 넘는다면 비로서 추세는 반전된다.

3.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른 투자자 매매심리를 파악하고 매매전략을 세우자.

지지와 저항에서 추세전환을 분석하여 실전매매에 적용하는 기법을 알아본다

상승추세의 추세전환 하락추세의 추세전환

상승추세의 저항은 일단 추세가 잠시 쉬는 것을 의미합니다 . 저항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추세가 끝나간다는 초기경고이며 지지수준 조차 무너지면 추세는 반전됩니다 .

삼성전자 (05930) 일봉챠트입니다 .

32 만원까지 상승한 주가는 27 만원에서 지지를 받고 상승반전하여 38 만원까지 오른 뒤 저항을받게 됩니다 . 이후 동일한 가격대에서 지지와 저항을 반복하다가 27 만원의 지지가 무너지고 있습니다 . 이후 주가는 어떻게 될까요 ?

지지가 무너진 이후 주가는 단 한번의 지지발생 없이 12 만원까지 무너졌습니다 . 거래량을 보면주가가 무너지는 동안 급증하였는데 이는 대규모 물량을 보유하고 있는 세력의 물량털기가 진행되었다는 증거로 추정됩니다 . 이로 인해 바닥확인후 주가의 상승전환시 매물부담이 많아서상승폭이 크지 못할 것입니다 . 그 다음의 대량거래 분출은 바닥을 확신하는 매집물량입니다 . 상승추세에서 지지가 무너지는 시점은 매도시점이고 반드시 거래량과 보조지표를 확인하셔야 합니다 .

하락추세의 지지 역시 추세가 잠시 쉬는 것입니다 . 하락추세에서 추세반전은 진행중인 추세의지지수준이 극복되면 새로운 추세를 알리는 조기신호이며 저항수준조차 뛰어 넘는다면 비로서추세는 반전됩니다 .

하나은행 (07360) 주봉챠트입니다 .

하락추세대의 주가는 2000 년 5 월 첫 번째 지지를 확인한 후 1 년이 넘는 지루한 박스권을 형성하였습니다 . 수없이 지지와 저항이 반복되다가 2001 년 6 월 주가는 저항을 돌파하려고 합니다 .

거래량을 보면 역시 박스권 상단 즉 저항에 닿을 때마다 증가하고 있습니다 . 그리고 보조지표들도 그때마다 과열을 알리는 신호를 보내고 있습니다 .

5000 원의 지지와 8000 원의 저항을 반복하던 주가는 결국 2001 년 6 월 저항을 상향돌파하면서추세전환을 이루었습니다 . 이후 주가는 저항수준까지 조정을 받지만 ' 어제의 저항은 오늘의 지지 ' 가 되어 재상승합니다 . 여기서 중요한 점은 일단 저항을 상향돌파한 후 조정시 주가는 저항에서 지지를 받게 된다는 것입니다 . 이를 되돌림현상 (Pull-back Effect) 이라고 합니다 . 마찬가지로 상승추세에서 지지를 하향돌파하는 주가는 지지까지 올라오다 저항을 받고 다시 하향하기도 합니다 . 하락추세에서 저항이 뚫리는 시점은 매수시점이고 마찬가지로 거래량과 보조지표를통한 확인은 필수작업입니다 .

2) 지지와 저항에서의 투자자 매매심리

지지와 저항이 챠트상에 존재하고 , 이것이 시장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심리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 즉 투자자들의 하향 추세 반전 확인 실제활동을 볼 수 있고 , 시장움직임에 대한 그들의 대응을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챠트분석은 투자자 매매심리와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투자자는 매수그룹 , 매도그룹 , 관망그룹의 세분류로 구분됩니다 . 그리고 가격변동이 심한 시장에서 지지수준에서 상승이 시작했다고 가정할 때 세그룹의 매매심리를 알아볼까요 ?

매수그룹매수후 주가 상승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매수물량이 적은 것을 안타까워할 것입니다 . 만약 시장이 지지수준으로 일시 하락한다면 적극적으로 매수할 것입니다

매도그룹자신의 실수를 후회하며 매매전략을 의심할 것입니다 . 기회수익의 상실을 배아파하며 매도시점까지 빠지기를 체크하거나 이 종목을 잊을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관망그룹아무런 포지션도 취하지 않은 예비그룹으로 분류할 수 있습니다 . 일정 방향을 확인하고 나서 전략을 취할 것입니다 .

만약 상승장세에 지지수준에서 추세반전하였다면 세그룹의 매매심리는 반대로 나타날 것입니

1. 상승추세에서 주가가 저항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추세가 끝나간다는 초기경고이며

지지수준 조차 무너지면 추세는 반전된다 .

2. 하락추세에서 추세반전은 진행중인 추세의 지지수준이 극복되면 새로운 추세를 알리는

조기신호이며 저항수준조차 뛰어 넘는다면 비로서 추세는 반전된다 .

3. 시장환경의 변화에 따른 투자자 매매심리를 파악하고 매매전략을 세우자 .

문제 17) 상승추세에서 주가가 저항을 극복하지 못한다는 것은 추세가 끝나간다는 경고이

며 지지수준이 무너지면 추세는 반전된다 .

// 2) 지지와 저항에서의 투자자 매매심리

지지와 저항이 챠트상에 존재하고 , 이것이 시장움직임을 예측하는 데 도움이 되는 것은 심리적인 이유 때문입니다 . 즉 투자자들의 실제활동을 볼 수 있고 , 시장움직임에 대한 그들의 대응을확인할 수 있기 때문입니다 . 챠트분석은 투자자 매매심리와 시장환경의 변화에 대한 투자자들의 반응을 나타내는 것입니다 .

투자자는 매수그룹 , 매도그룹 , 관망그룹의 세분류로 구분됩니다 . 그리고 가격변동이 심한 시장에서 지지수준에서 상승이 시작했다고 가정할 때 세그룹의 매매심리를 알아볼까요 ?

매수그룹매수후 주가 상승으로 즐거운 마음으로 매수물량이 적은 것을 안타까워할 것입니다 . 만약 시장이 지지수준으로 일시 하락한다면 적극적으로 매수할 것입니다

매도그룹자신의 실수를 후회하며 매매전략을 의심할 것입니다 . 기회수익의 상실을 배아파하며 매도시점까지 빠지기를 체크하거나 이 종목을 잊을려고 노력할 것입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