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정가 주문
주식을 매매하기 위해서는 주문을 시장에 넣어야 합니다.
주문은 단순히 ‘지금 사겠습니다.’라고 말한다고 해서 끝나는 게 아닙니다.
주문을 넣기 위해서는 종목, 수량, 가격과 어려 조건을 결정해야 하는데요.
어떤 것을 결정할지에 따라 주문의 종류가 나뉘게 됩니다.
크게 어떤 주문이 있는지 먼저 확인해보시죠.
1. 지정가 주문
종목, 수량, 가격 모두를 지정해서 넣는 주문입니다.
’삼성전자 주식을 100주 6만 원에 사겠습니다.’라고 주문을 넣는 것이죠.
우리가 생각했을 때 가장 일반적인 방식의 주문이 아닐까 생각합니다.
실제로 가장 많은 비율을 차지하는 주문 방식 이기도 합니다.
지정가에서 가격을 방금전 예시처럼 꼭 특정 금액으로 기입하는 것은 아닙니다.
현재 시장 상황에 따라 알아서 가격을 조정해서 들어가도록 하는 최유리 지정가 주문과 최우선 지정가 주문을 잘 알아두면 좋은데요.
쉽게 설명하자면, 최우선지정가는 현재 호가창에서 가장 앞줄에 서는 방식이라고 생각하시면 됩니다.
매도할 때는 현재 호가창에 쌓여있는 매도 주문 중에서 가장 낮은 가격으로 매도를 하고, 매수할 때는 현재 호가창에 쌓여있는 매수 주문 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으로 매수를 하는 겁니다.
최유리지정가는 거기서 더 빠른 체결을 위해서 한 발 더 나간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매도할 때는 현재 호가창에 쌓여있는 매수 주문 중에서 가장 높은 가격에 쌓여있는 주문과 바로 매칭 해서 체결하고, 매수할 때는 반대로 현재 호가창에 쌓여있는 매도 주문 중에서 가장 낮은 가격에 쌓여있는 주문과 매칭 해서 체결하는 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니 최유리지정가 주문은 최우선 지정가 주문보다 훨씬 더 체결이 빨리되며 체결될 가능성이 높지만, 거래 이익은 감소하는 주문방식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2. 시장가 주문
지정가 주문처럼 종목과 수량은 이름이 의미하는 것처럼 가격을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거래되고 있는 가격대로 넣는 주문입니다.
3. 조건부 주문
종가를 결정하는 장 마감 동시호가 시각인 15시 20분 전까지는 지정가 주문처럼 있다가 체결되지 않은 잔량을 시장가 주문으로 넣는 방식의 주문입니다.
지정가 주문
주린이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00 ~ 07:30)
주식 시장은 09:00 ~ 15:30까지 열리는데 아마 직장인이라면.. 이 시간에 주식 구매를 하기가 쉽지 않을 것 같다. 특히 내가 하는 일은 회사 업무가 너무 바빠서 주식 구매할 시간이 나지 않는다.
그래서 알아보니 예약매수주문이라 하여, 16:00 ~ 07:30까지 미리 예약을 할 수 있는 기능이 있었다.
나 같은 직장인들에게 아주 좋은 기능이 아닐까 싶다.
주문 유형은 지정가, 시장가, 조건부지정가 세 가지 중 하나를 선택하여 구매할 수 있다.
지정가 - 고객이 매매를 위탁할 때 매매가격 또는 시간을 지정하여 주는 주문 방법으로 고객이 지정한 가격 또는 지정가보다 유리한 가격에서만 매매가 체결되도록 하는 주문 (일반적인 주문 형태)
시장가 - 종목, 수량은 지정하되 가격은 지정하지 않는 주문으로서 시장에 접수된 시점에서 매매가능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를 성립시키는 것으로 하고 내는 주문 (단가 입력 x)
(이에 따라 시장가호가는 지정가호가보다 가격적으로 우선하되 매도 시장가호가와 하한가의 매도 지정가호가가, 매수 시장호가와 상한가의 매수 지정가호가는 동일한 가격의 호가로 보아 처리한다.)
조건부지정가 - 장 종료시의 가격을 단일가격에 의한 개별경쟁매매방법으로 결정하는 경우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할 것을 조건으로 하는 지정가 주문이다.
(즉 시장중에 일정한 가격을 정해 주문을 냈으나 매매체결이 안된 경우 장마감 단일가매매시에 자동적으로 시장가 주문방식으로 전환되는 주문이다.)
용어가 너무 어려운 것 같은데 보통 '지정가'로 주문을 하고 내가 사고 싶은 주식의 가격을 정하고 그 가격에 매수가 가능한 경우 매수된다.
나는 아프리카TV 2주를 샀는데 (왜 샀는지에 대해서는 다음 포스팅에서 조금 써볼까 한다.) 구매 내역 보면 참 재미있다.
오전 09:02 - 1주 61,300원
오전 09:15 - 1주 60,000원
2주를 샀는데 1주는 전일 종가인 61,300원 / 남은 1주는 조금 낮게 60,000원으로 잡았는데 13분 뒤에 60,000원으로 바로 구매가 되었다. 13분만에 자그마치 2.16% 감소
이게 61,300원이니까.. 그냥 1300원 버린 셈인데 만약에 내가 10,000,000원을 넣었다면?
13분에 216,000원 손해를 본 셈이다.
물론 이후 등락이 있을 수 있겠지만, 내가 13분 뒤에 주문했거나 매수금액을 낮게 잡았다면 더 이득을 볼 수 있었던 상황이라 생각하니 참 재미있었다. 주린이는 이렇게 하나 배우고 갑니다.
[주식 Study] 주식 주문 방법 (Feat. 지정가 & 시장가 & 조건부 지정가)
주식을 어떻게 사고 파는지 잘 모르시는 분들! 천천히 한번 읽어보시고 원하시는 주식을 매수해보시길 바랍니다.
여러분들이 원하는 주식을 매수하기 위해서는 어떻게 해야 할까요?
가장 먼저!! PC의 주식 프로그램이나 휴대폰의 주식 애플리케이션이 있어야겠지요!! (저는 NH투자증권의 나무라는 어플을 통해서 주식을 하고 있습니다. 다들 원하시는 증권사를 통해 주식 계좌를 개설하셔야 주식을 사고팔 수 있습니다. )
자 그럼! 먼저 MTS와 HTS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 MTS (Mobile Trading System) : 휴대전화 앱을 통하여 주식 거래를 할 수 있는 시스템.
* HTS (Home Trading System) : 집이나 사무실 등의 개인 PC를 통해 거래할 수 있는 시스템.
전업 투자자의 경우 HTS를 많이 사용하지만 일반 투자자의 경우 MTS를 주로 사용합니다. (저 또한 MTS를 통해서 주식을 매매하고 있습니다!)
MTS & HTS를 사용하여 주식을 주문하는 방법 중 일반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지정가 주문, 시장가 주문, 조건부 지정가 주문 에 대해서 설명드리겠습니다! (이름이 낯설어 어려워 보이지만 하나도 어렵지 않아요!!)
* 지정가 (보통가) 주문 : 투자자가 가격을 지정해서 주문하는 방법으로 지정한 조건과 다를 경우 체결되지 않는 주문 방식.
예를 들어 현재 가격이 60,000원인 삼성전자 주식이 있습니다. A는 삼성전자 주식을 사기 위해 59,500원에 100주 매수 주문을 합니다. 하지만 종가 59,600원에서 장이 마감되었습니다. A가 주문한 삼성전자 주식은 매수되었을까요?
정답은 아니요!!입니다. 삼성전자의 주가는 A가 지정한 59,500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대기 주문으로 있다가 장 종료와 함께 자동 취소되어 체결되지 않습니다.! (주문자가 지정한 가격에 매매되는 지정가 주문 이해 가시죠?)
- 지정가 주문의 장점 : 주문자가 원하는 수량과 가격에 주식을 살 수 있다. (현재 가격보다 더 싸게 사거나 비싸게 팔 수 있다.)
- 지정가 주문의 단점 : 주문한 가격이 되지 않으면 사거나 팔 수 없다.
만약! 매수 주문한 가격보다 현재가가 낮거나, 매도 주문한 가격보다 현재가가 높을 경우에는 아래 표와 같이 현재가로 체결되는 점 참고 바랍니다.
현재가 | 체결가 | |
61,000에 매수 주문한 경우 | 60,000원 | 60,000원 |
59,000에 매도 주문한 경우 | 60,000원 | 60,000원 |
* 시장가 주문 : 투자자가 가격을 정하지 않고 수량만 지정하여 주문을 하면 주문이 접수된 시점에서 가장 유리한 가격으로 매매되는 주문 방식.
예를 들어 삼성전자우 주식 100주를 시장가 주문으로 매수하게 되면 얼마에 체결이 될까요? (아래 사진을 보시고 고민해보시기 바랍니다!)
정답은 47,150원입니다. 시장가 주문 시 바로 거래 가능한 가장 유리한 가격 (저렴한 가격)에 매수되기 때문에 현재 가장 낮은 매도 호가인 47,150원에 체결되게 되는 것입니다.
여기서 잠깐! 만약 제가 삼성전자우 주식 5,000주를 주문하게 되면 어떻게 되면 어떻게 될까요?
현재 매수 가능한 47,150원에 2,147주 그리고 47,200원에 2,853주 총 5000주를 매수하게 됩니다. (지정가 주문과의 차이점 아시겠죠?)
- 주식 매매 시 현재가의 물량이 부족하게 된다면 주가를 높여서 매수하게 된다.
- 반드시 주식을 매매해야 할 경우에 주로 사용한다. (주로 주가 변화가 큰 급등주를 매매할 때 많이 사용한다고 합니다.!)
* 조건부 지정가 주문 : 지정한 가격으로 주문이 접수되지만 정규 시장 종료 시까지 주문이 체결되지 않으면 그날의 종가로 주문이 체결되는 방식.
예를 들어 제가 "카카오" 주식을 400,000원에 1000주를 조건부 지정가로 주문했습니다. 카카오 주식의 현재가는 410,000원인데 계속해서 하락하다가 405,000원의 종가로 장이 마감되었습니다.
주문한 카카오 주식은 매수되었을 까요? 매수되었다면 얼마에 매수되었을 까요?
정답은!! 405,000원에 카카오 주식을 1000주 매수입니다.
지정한 가격(400,000원)이 되지 않았기 때문에 그날의 종가인 405,000원에 주문이 체결된 것입니다.
* 지정가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주문과는 달리 지정된 가격이 되지 않을 경우 그날의 종가로 체결되는 점 참고하셔서 조건부 지정가 주문을 사용해보시길 바랍니다.
지정가 주문
주식 주문의 종류로는 지정가주문, 시장가주문, 조건부 지정가 주문, 최유리 지정가 주문, 최우선 지정가 주문, IOC, FOK, 시간외주문 등이 있습니다.
말 그대로 원하는 종목의 수량과 가격을 지정하여 내는 주문이며, 투자자들이 가장 많이 사용하는 주문 형태입니다. 지정가 주문을 낸 후에 시세와 호가가 맞지 않는다 판단되면 호가를 수정하여 다시 주문을 내게 됩니다.
예를 들어 매수자의 입장이라 했을 때, A 주식의 현재가는 80,000원이고, 10주, 79,000원으로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매수 주문. A 주식의 시세는 떨어지지 않는 상황에 더 오를 것으로 판단되면 10주, 79,000원 매수주문 취소하고 새로운 호가로 재주문 하는 것입니다. 10주 79,000원 매수주문 한 것은 꼭 취소해야만 재주문이 되는 것은 아니며, 추가로 계속해서 주문할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원하는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직접 지정하지 않고 현재 시장에서 형성되고 있는 가격 or 형성도리 가격으로 매매주문을 내는 방법. 그렇게 되면 매도주문은 시장에 나와 있는 매수주문 가격에 체결되고, 매수주문은 시장에 나와 있는 매도주문 가격으로 체결되는 방법입니다. 시장가 주문은 현재 시세로 매매가 이루어지는 것이므로 가장 빠른 시간 안에 확실히 체결될 수 있는 장점이 있습니다. 하지만! 매수주문 호가와 매도주문 호가의 차이가 큰 경우에는 원하는 가격보다 불리하게 체결될 수 있다는 단점 또한 존재합니다.
투자자가 장중에 지정가 주문을 하였으나 지정한 가격에 미체결된 경우에 장 마감 전(10분간) 동시호가 시간에 시장가 주문으로 전환되는 주문입니다. 저 처럼 직장인의 경우에는 매일 매일 주식시장의 상황을 확인하기가 어려운데요, 이런 사람들이 이용하기에 적합한 방법이라고 볼 수 있습니다.
투자자가 종목과 수량만 지정, 가격은 매수주문의 경우에는 최우선매도호가, 매도주문의 경우에는 최우선 매수호가로 지정되는 주문. 말 그대로 가장 유리한 호가로 지정되는 방법이네요. 정규시간 중에만 가능 주문 방법. 즉 상대방향매매(매도면 매수, 매수면 매도)의 최우선 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되는 것이에요.
투자자가 종목과 수량만 지정하고, 가격은 매수주문은 최우선 매수호가로, 매도주문은 최우선매도호가로 지정되는 주문입니다. 물론 정규시간 중에만 가능한 주문 방법입니다. 주문접수 시점에 동일방향(매도면 매도, 매수면 매수)의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최우선호가와 동일한 가격으로 주문되는 방법입니다. 최유리, 최우선 지정가와의 차이점 이제 확실히 알 수 있겠지요?
조건부여 주문이란 말 그대로 주문에 조건을 붙여 주문을 내는 방법입니다. 그 종류에는 IOC주문, FOK주문이 있습니다. IOC(immediate or cancel)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주문은 주문 수량 중 체결할 수 있는 수량에 대해서만 체결하고, 매매되지 않는 수량은 취소하는 조건에 붙은 것이에요. 쉽게 말해 지금 살 수 있는 즉 남아있는 것만 다 사겠다!! 이것이고요
FOK(fill or kill)주문은 주문 수량 전부를 매매 체결 할 수 있을 때만 매매하고, 그게 안되면 주문 수량을 전부 취소하는 조건이 붙은 주문입니다. 즉 동전의 앞, 뒷면처럼 전부 못사면 아예 안삽니다! 이것입니다. FOK주문은 목표수량을 정해 수량단위로 3일차, 예약매수주문 시간이 없는 직장인을 위해(16: 00 ~ 07: 30) 매매하고자 할 때 이용하는 방법이며 기관투자가가 많이 활용하는 방법 이라고 합니다.
[ 시간 외 거래 주문 ]
증권시장에는 시간외 시장이라고 불리는 정규시간(오전 9시 ~ 오후 3시 30분)외에 매매를 할 수 있는 거래가 있습니다.
오전 8시 30분부터 40분 까지는 10분간 전일 종가 기준으로, 오후 3시 30분 ~ 4시까지는 당일 종가 기준으로 주문을 낼 수 있고, 상대가 있다면 거래가 이루어집니다.
오후 4시 ~ 6시까지는 시간외 단일가 매매제도를 두고 있어요. 단일가 매매 방식으로 거래가 이루어지는데 단일가 매매는 10분 단위로 매매체결이 이루어지고, 정규시장 종가 기준으로 +-10%범위(시간외 시장 적용안됨)에서 거래가 가능합니다. 시간외 단일가 매매 제도에도 주가 급등락 위험을 사전에 완화하는 변동성 완화 장치가 있습니다.
시간외 단일가 매매시 개별종목의 잠정 체결가격이 종가 대비 3%(KOSPI200종목) 또는 6%(코스피, 코스닥 종목)이상 올라갈 경우 매매 없이 2분간 단일가 매매를 실시하는 것!
출처 : blog.naver.com/fox2406/222247198452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