상인들이 만든 르네상스 예술이야기
본 강의는 르네상스라는 시대에 제작된 예술작품을 단순히 예술가들의 재능이 아니라 예술가들을 후원했던 상인들의 돈과 권력에 대한 욕망의 관점에서 감상해 보려고 한다. 이를 위해 첫째로 레오나르도 다 빈치나, 미켈란젤로와 같은 예술가들의 작품을 감상하면서, 이들 예술가들을 후원했던 메디치 가문과 같은 상인들의 창의성도 동시에 살펴볼 것이다. 둘째로 인문학의 탄생배경과 상인들의 후원으로 그림의 주제를 결정했던 인문학자들이 인문학을 예술작품에 어떻게 투영시키는지에 대해 살펴보게 될 것이다. 마지막으로 이들 예술작품들이 감상자들에게 걸어오는 말을 이해함으로써 이제까지 어렵게만 느껴지던 르네상스 시대 예술작품 감상과 인문학을 쉽게 이해할 수 있도록 설명하고자 한다.
1. 총14주차로 구성된 본 강좌는 주차별 콘텐츠 수강 후 Quiz(5문항)를 완료하면 주차별 학습이 완료됩니다.
2. 마지막 14주차에는 총괄평가(객관식 20문항)를 진행합니다.
3. [토론 안내] 본 강좌는 총 2회의 토론을 계획하고 있으며 평가에 반영됩니다. 토론은 학습주차가 진행되는 동안 토론 2주전 일정 및 주제, 방식에 대해 공지를 할 예정이므로 공지내용을 꼭 확인해주시기 바랍니다.
[책임교수] 성제환갑 교수(Coenell University, 경제학박사) - 원광대학교 경영대학 경제학부
[학습TA] 장성혁(원광대학교 일반대학원 경제학과 박사과정)
[운영TA] 김형국(원광대학교 CTL 교수학습개발과, 이러닝지도사)
[이수/평가 정보] 퀴즈(20%), 총괄평가(60%), 토론(20%) - 총점 60점 이상 이수증 발급
[강좌수준 및 선수요건] 특별한 선수요건은 필요하지 않으며 인문학과 역사, 경제에 관한 통섭에 관심있고 정형화되어 있는 기존 사고의 틀을 깨고 사고의 영역을 확장을 원하는 학습자는 누구나 수강 가능함
Hanyang University repository
Title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Other Titles Analysis of Factors Influencing Merchants' Business Decisions Author 문해주 Advisor(s) 이명훈 Issue Date 2022. 2 Publisher 한양대학교 Degree Doctor Abstract This study analyzed how various factors related to the commercial business environment affect merchants' initial business decisions and future sales intentions for merchants who continue to operate even in the COVID-19 pandemic situation. In addition, a hypothesis was established on how the factors influencing the merchant's business decision had a complex influence on the initial business decision and the intention to continue operating over time, and then a comprehensive correlations of mutual impact was analyzed. Considering the limitation of existing studies that have been mainly conducted on single commercial districts in terms of time and space, this study classified business decisions and sales intentions according to the difference between business period and business district,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and analyzed two commercial districts in Jongno-gu and Dongdaemun-gu, Seoul. To select analysis variables, preliminary analysis variables were first reviewed and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the final 26 variables were selected through expert FGI, and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s, commercial environmental factors, investment cost factors, and sales factors were set and applied to the analysis. According to the research intention, it was verified through t-test whether there are differences that are considered important in business decisions by merchants' operating period and commercial district. As a result of the analysis, merchants with less than five years of business value the importance of customer inflow conditions such as fixed costs including premium, rent, facility costs, bus stops, floating population, and nearby rest areas. Next, it was analyzed that Dongdaemun-gu showed higher importance in the overall business environment such as rent, premium, interior, distance from bus stops, share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of similar commercial districts, floating population, and creation of surrounding commercial districts, and Jongno-gu exhibited higher importance in cultural accessibility. Next, the results of regression analysis on the factors influencing business decisions by business period of merchants are as follows. For merchants with a business period of less than five years, rents, road folding, the number of regular customers, the proportion of similar commercial districts, deposits, and interior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business decis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rchants with a business period of more than 5 yea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bus stop, land price, corner seats, and facility costs we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By commercial district, merchants in Jongno-gu put more emphasis on the distance from bus stops, facility costs, publicity, premium, industry experience, rest area, sales, and corner seats, while merchants in Dongdaemun-gu put more emphasis on the proportion of franchises, deposits, and commercial rights. The results of the regression analysis on the influencing factors of business decisions by merchant's business period are as follows. For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merchants with a business period of less than five years, rents, road folding, the number of regular customers, the proportion of similar commercial districts, deposits, and interiors had an important influence on business decisions. On the other hand, in the case of merchants with a business period of more than 5 years, there was a difference in that the distance from the bus stop, land price, corner seats, and facility costs were considered to be more important. By commercial district, merchants in Jongno-gu put more emphasis on the distance from bus stops, facility costs, publicity, premium, industry experience, rest area, sales, and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corner seats, while merchants in Dongdaemun-gu put more emphasis on the proportion of franchises, deposits, and commercial rights. Finally, as a result of structural analysis of merchants' business decisions and sales intentions, merchants with a business period of 5 years or more value commercial rights and prioritize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such as individual sales, deposits, and rent. By commercial district, physical environmental factors, location environmental factors, and commercial district environmental factors commonly influenced business decisions and sales intention, and Jongno-gu merchants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more highly valued investment cost factors in business decisions compared to Dongdaemun-gu merchants. Overall, it is easier to set up the initial business at the shopping mall to attract customers and to establish infrastructure, but in the long run, heavy input into facility costs or interior design is a factor that hinders continuous business intention. Although each merchant's environment has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different characteristics, there is a common burden on fixed costs such as rent, facility costs, and deposits, so policy measures for low-interest rate loans for small business owners and support measures for early business stability are needed.|본 연구는 코로나 팬데믹 상황에서도 영업을 지속하고 있는 상인들을 대상으로 상가 영업환경과 관련된 여러 요인들이 상인들의 초기 영업결정과 향후 영업지속의사에 어떠한 영향을 미치는지 분석하였다. 더불어 상인의 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들이 초기 상가 영업결정과 시간이 흘러도 영업을 지속할 의사에 복합적으로 어떠한 영향관계를 보이는지 가설을 설정한 뒤 종합적인 상호 영향관계를 분석하였다. 기존 연구들이 시간적 측면에서 단일 시점, 공간적 측면에서 단일 상권을 대상으로 주로 연구가 이루어져 왔다는 한계를 보완하여 본 연구에서는 영업기간과 상권의 차이에 따라 영업결정과 영업지속의사에 차이가 있을 것이라는 점에 착안하여 영업기간별로 5년 이상, 5년 미만인 그룹으로 분류하고 상권의 대상은 서울시 종로구와 동대문구 2개의 상권을 설정하여 분석하였다. 분석변수의 선정을 위해 본 연구와 유사한 분야에서 다뤄진 선행연구들을 검토하여 1차적으로 예비 분석변수를 설정하고 전문가 FGI를 거쳐 최종 26개의 변수를 선정하여 변수의 성격에 따라 물리적환경요인, 입지환경요인, 상권환경요인, 투자비용요인, 영업요인으로 설정하고 분석에 적용하였다. 연구의도에 따라 상인들의 운영기간 및 상권별로 영업결정에 있어 중요하게 생각하는 차이가 존재하는지 t-test를 통해 검증하였다. 분석결과, 영업기간 5년 미만 상인들은 영업결정에 있어 권리금, 임대료, 시설비 등의 고정비용, 버스정류장, 유동인구, 주변의 휴식공간 등 고객유입조건에 대해 중요성을 높게 평가하는 것에 비해 5년 이상의 상인들은 고정고객과 매출액에 대한 비중을 높이 평가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다음으로 상권별 차이로 동대문구는 종로구의 상인에 비해 임대료, 권리금, 인테리어,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동종상권 비중, 유동인구, 주변의 상권조성 등 전반적인 영업환경에 대하여 높은 중요도를 보이며 종로구는 문화접근성에 대한 중요도를 중요하게 판단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다음으로 상인의 영업기간별 영업결정 영향요인에 관한 다중회귀분석 결과, 5년 미만 상인들의 경우 임대료, 도로접면, 단골고객수, 동종상권 비중, 보증금, 인테리어 등이 영업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는 반면, 5년 이상의 경우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지가, 코너자리, 시설비를 중요하게 여기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상권별로는 종로구의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경우는 버스정류장과의 거리, 시설비, 홍보, 권리금, 동종업계 경력, 휴식공간, 매출액, 코너자리 등이 영업결정에 중요한 영향을 미치고 있으며, 동대문구의 경우 프렌차이즈, 보증금, 동종상권 비중을 중요하게 판단하는 차이가 존재하였다. 다음으로 상인의 영업기간별 영업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요인에 대해 분석한 결과, 공통적으로 상권조성, 시설비, 단골고객수 등 입지요인과 고정비가 영업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특히 영업기간 5년 이상 상인들은 5년 미만 상인들에 비해 영업지속의사와 관련해서는 프랜차이즈, 코너자리, 승강기 및 주차 등을 더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상권별로는 공통적으로 인건비나 임대료, 매출액 등을 중요하게 평가하고 있었으며, 종로구에 비해 동대문구에서는 지가, 인테리어, 문화접근성 등의 요인들이 영업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치는 것으로 나타났다. 마지막으로 상인의 영업결정과 영업지속의사에 대한 구조방정식 분석결과, 영업기간별로는 5년이상 운영기간을 가지는 상인들은 상권을 가장 중시하며 개인의 영업과 보증금, 임대료 등 물리적환경요인을 영업지속의사 우선순위로 두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권별로는 물리적환경요인, 입지환경요인, 상권환경요인 등이 공통적으로 영업결정과 영업지속의사에 영향을 미쳤으며, 종로구의 경우 동대문구에 비해 영업결정에 있어 투자비용요인을 중요하게 평가하는 것으로 분석되었다. 종합적으로 상가의 초기 영업을 안착시키는 것은 주변의 고객유입이 쉽고 인프라가 갖춰진 곳이 쉽지만 장기적으로는 시설비나 인테리어 대한 과중한 투입이 지속적인 영업 의사를 방해하는 요인으로 작용하는 것으로 나타났다. 상인이 처한 환경이 저마다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지만 공통적으로 임대료, 시설비, 보증금 등 고정비에 대한 부담이 존재하므로 저리의 금리대출이나 소상공인을 위한 정책적 방안과 조기 영업안정을 위한 지원책이 필요한 상황이다. URI http://hanyang.dcollection.net/common/orgView/200000593570https://repository.hanyang.ac.kr/handle/20.500.11754/167608 Appears in Collections: GRADUATE SCHOOL OF URBAN STUDIES[S](도시대학원) > DEPARTMENT OF URBAN AND REGIONAL DEVELOPMENT(도시·지역개발경영학과)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 Theses (Ph.D.) Files in This Item:
Items in DSpace are protected by copyright, with all rights reserved, unless otherwise indicated.
이마트, 청년상인·중소기업 육성 나선다
이마트는 오는 8월 26일(일)까지 ‘이마트 스타상품 개발 프로젝트’ 참여 업체를 모집한다. 모집 대상은 전통시장 청년상인과 중소기업 두 부문으로 나뉘며 각 30개 업체, 총 60개 업체를 선정한다.
올해로 3회째를 맞는 ‘이마트 스타상품 개발 프로젝트’는 전국 전통시장 청년상인과 중소기업의 우수상품을 찾아, 이마트의 컨설팅과 국내외 판로 지원을 통해 스타상품으로 육성 및 개발하는 상생 프로젝트다.
중소기업의 경우 중소기업진흥공단의 HIT500홈페이지( www.hit500.or.kr) 내 ‘HIT500신청’ 메뉴 및 청년창업사관학교 홈페이지(start.sbc.or.kr)를 통해 신청 가능하며, 전통시장 청년상인은 소상공인진흥공단 홈페이지( www.semas.or.kr)를 통해 모집한다.
이마트 바이어 및 담당자는 서류 평가와 상담을 통해 지원한 청년상인 및 중소기업 중 총 60개 업체를 선정하며, 9월부터 바이어와 업체의 1:1 매칭을 통해 ‘인큐베이팅’을 진행한다.
인큐베이팅 과정에서 이마트는 각 업체의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상품 홍보 영상과 회사 및 상품 소개자료 제작을 지원하며, 이 외에도 상품성 강화를 위한 상품 보완이나 마케팅 등 다양한 부분의 컨설팅을 제공한다. 이후 10월 말 열릴 본선 평가는 실물 평가, 피칭(PT) 평가, 맛 품평회, 현장 투표로 구성된다.
특히 올해 실물 평가는 일반 고객들의 참여를 강화하기 위해 스타필드 하남 내 중앙 보이드 행사장에서 진행할 예정이다. 최종 평가는 상품성, 시장성, 디자인 등을 고려하여 이마트 바이어 및 외부 전문가, 그리고 이마트 고객이자 서포터즈인 ‘이마터즈’의 평가로 진행된다.
이후 선정된 업체에 대해서는 이마트, 백화점 등 그룹사 판로 지원과 이마트 해외 유통망을 이용한 수출 판로지원, 또한 PL 상품 개발 추진 등의 후속 지원이 이뤄진다.
2016년부터 시작된 이마트의 스타상품 개발 프로젝트는 이마트와 중소기업진흥공단의 플랫폼을 활용한 국내외 판로 지원을 통해 우수 청년상인 및 중소기업의 시장 돌파구 역할을 해내고 있다. 지난 2회의 스타상품 개발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된 청년상인 14개 업체와 중소기업 27개 업체는 국내외 누적 총 40억원 가량의 매출을 기록했다.
2018년 6월에는 2016년과 2017년 선정된 업체 중 15개 중소기업의 109개 상품이 중진공의 싱가포르 내 온/오프라인 전시판매장인 ‘아임스타티스(I’m Startice)’ 및 유명 쇼핑몰 판촉전에 참여 및 입점하기도 했다.
2017년 스타상품 프로젝트를 통해 선정된 대전 중앙시장의 청년상인 업체 ‘머스마빱’은 작년 12월 이마트 중동점과 올해 5월 연수점에 정식 매장으로 입점해 약 1억 5천만원의 매출을 기록했다.
머스마빱 뿐만 아니라 대전 중앙시장의 ‘콩드슈’, 속초 관광수산시장의 ‘아임파인쉬림프’ 역시 각각 이마트 둔산점, 킨텍스점에 정식 입점해 좋은 반응을 얻고 있다.
이마트 정동혁 CSR담당은 “2016년 시작된 이마트 스타상품 개발 프로젝트는 2년간 성공적인 진행을 통해 국내 대표적인 상생 프로젝트로 자리잡았다.”며,
“좋은 상품을 갖췄으나 판로 개척에 어려움을 겪는 청년상인 및 중소기업이 국내외 시장에 진출할 수 있는 훌륭한 기회가 될 것으로 기대한다.”고 말했다.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세류2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에서는 지난 4월 26일(월) Repository at Hanyang University: 상인의 영업결정 영향요인 분석 ‘세류2동 카멜레존 상인 육성사업’ 입주상인을 선정하는 평가를 개최하였다.
평가는 서류평가를 통과한 예비상인을 대상으로 하였으며, 예비상인의 사업계획서 발표 및 심층 있는 질의응답의 과정을 거쳐 총 5명(팀)이 선정되었다.
세류2동 카멜레존은 공간에 전혀 다른 기능을 하는 두 사업체가 공존하는 협업의 공간이다. 이번에 선정된 5명(팀)의 입주상인 역시 ‘동결건조 커피 제조, 전통문양 장식품 제작, 주민들이 만들어가는 김밥⦁샌드위치 판매, 꽃차⦁매듭 공예 체험 프로그램, 문화예술공간 디자인’ 등 먹고 마시고 체험하는 카멜레존의 취지에 맞게 사업내용 역시 다채로웠다.
이재준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이사장은 “골목상권에 새바람을 몰고 올 카멜레존 상인에게 거는 기대가 크다. 특히 청년사관학교 출신 등 사업에 대한 이해도가 높은 예비상인들의 참여가 돋보였다.”며 “센터에서는 이들의 입주를 돕는 것과 동시에 팬데믹 시대에 맞춘 사업 활성화의 방향을 다각도로 모색하여 온라인플랫폼 등 다양한 판로개척에 힘쓸 계획이다.”고 밝혔다.
선정된 상인들은 5월부터 시작되는 상인교육(컨설팅)에 참여하게 되며, 센터는 교육 이수 결과에 의해서 최종 카멜레존 입주자를 선정하게 된다.
이전글 | "주거취약계층 핀셋정책 수립"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정책 토론회 열어 | 양동원 | 2021-04-29 |
---|---|---|---|
현재글 | 세류2동 도시재생현장지원센터, “우리는 세류2동 카멜레존 상인입니다 | 윤정로 | 2021-05-03 |
다음글 | 수원시지속가능도시재단, ‘2021 수원시 주거복지 정책토론회’ 개최 | 양동원 | 2021-05-11 |
주 소 16429 경기도 수원시 권선구 수인로126(서둔동) 2층(더함파크)
대표전화 031-280-6300 팩스 031-280-6386 이메일 [email protected]
0 개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