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4월 1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경제원론]완전경쟁시장과 독점시장

완전경쟁(perfect competition)이란 경쟁이 존재하지 않는다는 의미로 생각하면 된다. 흔히 말하는 경쟁이란 경쟁자들끼리 무엇인가를 조금이라도 더 차지하기 위해서 싸우는 것을 뜻하지만 경제이론에서는 공급자들이 너무 많아서 경쟁이 이루어지지 않는 상태를 완전경쟁이라고 한다. 결국 완전경쟁시장이란 개별기업들 사이에 경쟁관계가 전혀 존재하지 않는 시장형태이다. 수많은 가계와 기업이 주어진 시장가격하에 동질의 상품을 자유롭게 사고파는 시장으로서 어떤 생산요소와 기업도 자유롭게 빠져나갈 수 있으며 완전한 시장정보를 무료로 얻을 수 있는 이상적인 시장을 의미한다. (간추린 경제학 초보 - 제2절 완전경쟁시장)

완전경쟁시장이 성립하려면 다음과 같은 조건이 갖추어져야 한다.

1) 공급자와 수요자가 많아야 한다.
생산자가 많아서 일부 생산자가 생산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도, 수요자가 많아서 일부 수요자가 수요량을 증가시키거나 감소시켜도 시장의 가격에 영향이 미치지 않아야 한다. 개별경제주체들은 시장에서 결정된 가격에 따르게 되고 수요와 공급에 대한 자신들의 행동이 가격에 영향을 주지 않는다. 그러나 각각의 개별경제주체들이 직접적으로 시장을 움직일 힘은 없지만 그러한 판단이 모두 모여 수요량과 공급량이 같도록 가격이 조절된다.
2) 생산품들은 모두 동질성이 있어야 한다.
공급자나 수요자들이 모든 제품들은 똑같은 것이라고 생각해야 한다. 즉 어떤 기업에서 생산하는 상품이든지 모두 동질적이어서 완전히 서로 대체될 수 있어야 한다.
3) 완전한 시장정보를 가지고 있어야 한다.
어떤 가게에서 상품을 다른 가게보다 싸게 판다면 사람들은 모두 이 가게에 가서 상품을 산다. 그러면 이 가게는 물건이 모자라 더 이상 팔 수 없으므로 가격을 올리게 된다. 이와 반대로 어떤 가게에서 상품을 비싸게 판다면 그 물건은 팔리지 않을 것이고 결국 상품의 가격을 내리게 된다. 이러한 경우는 다른 가게에서 파는 상품의 가격에 대한 정보를 갖고 있지 못하기 때문에 생긴다. 결국 시장에 대한 완전한 정보를 갖고 있으면 한 상품에 대한 한 가지 가격만 존재하게 된다.
4) 모든 생산요소들이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생산요소들이 한 기업에 독점되지 않아야 하고 지역 간, 직종 간 등 경제 전체에 자유롭게 이동할 수 있어야 한다.
5) 시장에 들어가고 나가는 것이 자유로워야 한다.
이윤이 높은 상품이 있다면 생산자는 새롭게 그 시장에 진출할 수 있어야 하고 생산하는 상품의 이윤이 낮아 적자가 생긴다면 언제든지 사업을 철수 할 수 있어야 한다.

on the other hand on the other hand

[국제무역이론 ④] 新무역이론(New Trade Theory) - 상품다양성 이익, 내부 규모의 경제 실현 [국제무역이론 ④] 新무역이론(New Trade Theory) - 상품다양성 이익, 내부 규모의 경제 실현

국제무역이론의 주요 관심사는 '무역을 왜 하는가?' · '무역의 이익은 무엇인가?' · '무역은 소득분배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가?' 이다.

리카도의 비교우위론 · 헥셔-올린의 무역이론 등 1세대 국제무역이론은 '각 국가들이 서로 다른 특성을 지녔기 때문에' 무역을 한다고 이야기 한다. 리카도는 '노동생산성의 차이'(기술수준의 차이)에 주목하고, 헥셔-올린은 '보유자원의 차이'를 말한다. 이들 이론에서는 각 국가들의 기술수준 · 보유자원 등이 같거나 유사할때 무역은 발생하지 않는다 .

또한 1세대 국제무역이론에서는 '한 국가에서 특화상품은 수출만 되고, 특화하지 않은 상품은 수입만 된다. 똑같은 산업에 속한 상품들이 교환되는 모습은 나타나지 않고 있다.' 리카도의 비교우위이론에서는 '비교우위 산업의 상품을 수출하고, 비교열위 산업의 상품은 수입한다'. 헥셔-올린 이론에서는 '자본풍부국은 자본집약적 상품을 수출하고, 노동집약적 상품을 수입한다. 노동풍부국은 노동집약적 상품을 수출하고 자본집약적 상품을 수입한다.' 똑같은 산업에 속한 상품들은 교환되지 않기 때문에, 서로 다른 산업 간에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무역이 발생하게 된다(Inter-Industry Trade) .

따라서, 1세대 국제무역이론이 말하는 '무역의 이익'은 '해당 국가가 가지지 못한-혹은 비교적 덜 가지고 있는- 상품을 간접생산' 하는 것 이다. 리카도의 비교우위론에서는 무역을 통해 비교열위 상품을 간접생산하고, 헥셔-올린 이론에서는 희소한 자원(scarce resource)이 집약된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상품을 간접생산 한다.

  • 출처 : ' 2008 Nobel Prize Lecture by Paul Krugman '.

1세대 국제무역이론은 과거 20세기 초반의 무역패턴을 명확하게 보여줄 수 있었다. 20세기 초반 국가들은 자신들이 가지지 못한 상품을 수입하기 위해 힘을 썼다. 가령, 유럽 국가들이 인도에만 있는 향료를 수입하려 했던 식이다. 굳이 자신들과 비슷한 국가들과 무역을 할 유인은 없었다 .

위의 그래프는 이러한 과거 무역패턴을 보여준다. 산업혁명에 성공한 1910년대 영국은 자신들이 가진 제조업상품을 주로 수출하고 비제조업상품을 주로 수입했다. 특화된 제조업상품은 수출만 되고 특화하지 않은 비제조업상품은 수입만 되는 양상이다. 제조업상품의 수입 혹은 비제조업 상품의 수출도 조금은 보이지만 그 비중은 매우 작다. '서로 다른 산업간 무역'(Inter-Industry Trade)의 모습이 뚜렷이 나타나고 있는 것 이다.

  • 출처 : ' 2008 Nobel Prize Lecture by Paul Krugman '.

하지만 오늘날의 무역패턴은 과거와는 다르다 . 위 그래프는 1990년대 영국의 무역패턴을 보여준다. 한 눈에 보이듯이 우선 제조업 상품의 무역비중이 크게 증가했다. 중요한 것은 제조업 상품의 수출 · 수입이 비슷한 비중으로 동시에 발생 하면서 똑같은 산업 내부에서 무역이 이루어 지고(Intra-Industry Trade) 있다. 이는 제조업 상품(특화상품)이 주로 수출만 되었고, 비제조업상품(비특화상품)은 수입만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되었던 과거와는 다르다.

  • 출처 : ' 2008 Nobel Prize Lecture by Paul Krugman '.
  • ROW는 유럽 이외의 국가('Rest of the World')를 의미한다.

또한, 1910년대 영국은 주로 비유럽 국가들과 무역을 했으나, 오늘날 영국의 무역비중에서 유럽 국가들이 차지하는 비중이 커졌다 .

오늘날 세계의 무역패턴은 쉽게 이해할 수 있다. 한국은 비슷한 산업구조를 가진 미국 · 유럽 · 일본 · 중국과 주로 무역을 한다. 또한 전자산업 상품을 수출함과 동시에 수입하기도 한다. 갤럭시폰 을 수출하지만 아이폰을 수입하는 꼴이다. 같은 산업내에서 무역이 발생하는 비중이 높다(Intra-Industry Trade). 이때 갤럭시폰과 아이폰은 '스마트폰'이라는 범주에 속하지만, 차별화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오늘날 무역패턴의 특징은

▶ '서로 비슷한 국가끼리 무역'(similarity) ·

'서로 같은 산업내 무역'(Intra-Industry Trade) ·

'(같은 산업에 속해있지만) 차별화된 상품을 수출입'(differentiated products)

등이다. 1세대 국제무역이론이 말하지 않는 이러한 무역패턴을 설명하기 위해, 1970년대 후반부터 '신국제무역이론'(New Trade Theory) [각주: 1 ] 혹은 ' 2세대 국제무역이론' 이 등장하기 시작했다.

신무역이론 개발을 이끈 대표적인 경제학자는 바로 Paul Krugman(폴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크루그먼) 이다. 그는 1979년 논문 < Increasing returns, monopolistic competition, and international trade> 을 통해 '신무역이론'을 세상에 내놓았다. (주 : 폴 크루그먼은 '신무역이론'과 '신경제지리학'을 개발한 공로를 인정받아 2008년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했다.)

그리고 Elhanan Helpman(엘하난 헬프먼) · Gene Grossman(진 그로스먼) 또한 여러 연구를 통해 2세대 국제무역이론을 만들었다. 이번글에서는 폴 크루그먼의 1979년 논문을 중심으로 '신무역이론'에 대해 알아보자.

※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우선 오늘날 무역패턴 중 '(같은 산업에 속해있지만) 차별화된 상품을 수출입'(differentiated products) 을 주목해보자.

1세대 국제무역이론에서 '자본(노동)집약적 상품'들은 그저 똑같은 특성을 지닌 상품이었다. 하지만 오늘날 자본(노동)집약적 상품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다. 자동차 · 스마트폰 등은 모두 자본집약적 이지만 서로 다른 상품이다. 게다가 스마트폰 내에서도 갤럭시와 아이폰은 서로 차별화된 재화이다. 이처럼 오늘날 상품은 서로 '차별화된 특성'을 지니고 있다 .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하는 시장'을 설명하려면 어떻게 해야할까? 경제학에서 주로 등장하는 '완전경쟁시장'(perfect competition market)은 동질한 재화를 생산하는 시장이다. 따라서 다른 형태의 시장모델이 필요하다. 이때 등장한 것이 바로 '독점적 경쟁시장'(monopolistic competition market) 이다.

독점적 경쟁시장 모델은 다수의 생산자가 존재한다고 가정한다. 그렇다면 이를 왜 '독점적' 이라고 하는 것일까? 바로 '차별화된 상품'(differentiated products)을 생산하기 때문이다. 생산자가 만들어내는 상품은 서로 다른 특성을 지니고 있기 때문에, 상품의 가격을 다른 상품보다 높게 올리더라도 수요가 없어지지 않는다. 일종의 '독점력'을 가질 수 있다.

만약 여러 생산자가 차별화된 상품을 생산한다면 소비자들은 다양한 상품으로 인한 효용을 누릴 수 있다 . 옴니아폰만 쓰는 게 아니라 아이폰도 쓸 수 있으니 우리의 효용이 증가하게 되는 것을 이야기한다. 그런데 '독점적 경쟁시장 모델'과 '국제무역'이 도대체 무슨 연관이 있을까?

※ 내부 규모의 경제 (Internal economies of scale, Increasing return)

- 내부 규모의 경제와 상품다양성 욕구의 충돌

하나의 시장안에 여러 개의 기업이 존재한다고 생각해보자. 이때 이들 기업이 생산하는 상품은 서로 '차별화' 되어있다. 따라서, 존재하는 기업의 수가 많을수록 상품 다양성은 증가하고 소비자들의 후생도 커진다 . 그런데 기업의 수가 무한히 많아질 수 있을까? 그것이 가능하다면 소비자들은 무한대의 다양한 상품을 선택할 수 있다.

하지만 모두의 바람과는 달리 하나의 시장에서 무한대의 기업이 존재하는 건 불가능 하다. 바로, '고정비용'(fixed cost) 이 존재하기 때문이다. 고정비용이란 상품을 생산하지 않아도 지출해야 하는 비용 혹은 쉽게 말해 초기투자비용 을 의미한다.

예를 들어, 마이크로소프트가 만든 소프트웨어 윈도우즈는 상품을 판매할 때 드는 비용이 매우 적다. CD를 찍어내는 비용 혹은 인터넷 다운로드가 유발하는 비용은 매우 적기 때문이다. 그렇다고해서 윈도우즈 투자비용이 적다고 말할 수 있을까? 물론 아니다. 상품을 판매하기 이전까지 들어가는 개발비용 등은 매우 많다.

이러한 '고정비용' 혹은 '초기투자비용'이 만들어내은 특징은 '많은 양을 판매해야만 평균비용이 감소'한다는 것 이다. 만약 윈도우즈를 만들어놓고 하나만 판매한다면 평균비용은 초기투자비용 그 자체가 되어버린다. 하지만 많은 양을 판매한다면 평균비용은 비례적으로 감소할 것이다 .

(주 : ' 상품의 판매량이 증가할때마다 평균비용이 감소 '하는 모습을 우리는 이전글에서 본적이 있다. ' [국제무역이론 ③] 외부 규모의 경제 - 특정 산업의 생산이 한 국가에 집중되어야 '에서는 '같은 산업에 속한 여러 기업들이 한 곳에 모인 결과'로 규모의 경제가 실현되는 양상을 볼 수 있었다. 이를 '외부 규모의 경제'(external economies of scale)이라 했다.

하지만 이번글에서 다루는 '상품의 판매량이 증가할때마다 평균비용이 감소'하는 모습은 이와는 다르다. (여러 기업이 한 곳에뭉치지 않아도) ' 하나의 기업에서만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생산량이 증가해도 평균비용이 감소 '하는 모습을 상정한다. 바로, '내부 규모의 경제'(internal economies of scale or increasing return) 이다.)

'내부 규모의 경제'가 존재한다면 기업 입장에서는 생산량을 늘려야먄 비용을 감소시킬 수 있다. 그런데 무한대의 기업이 시장에 존재한다고 생각해보자. 무한대의 기업이 각자 원하는 생산량을 모두 생산할 수는 없다. 시장크기가 제한되어 있기 때문이다.

결국 크기가 제한된 시장 안에서 기업의 수가 증가 할때마다 기업 한곳이 생산할 수 있는 생산량은 감소 한다. 그리고 생산량 감소에 따라 기업들의 평균생산비용은 증가 한다. 평균생산비용 증가를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퇴출 되고 상품다양성은 줄어든다 .

이것이 뜻하는 바가 무엇일까? 소비자들은 차별화된 상품이 많으면 많을수록 '다양성의 이익'을 누릴 수 있다. 하지만 고정비용과 내부 규모의 경제가 존재 하고 시장크기가 작은 경우,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는 '다양성의 이익'은 제한 된다. '내부 규모의 경제'와 ' 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욕구'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 한 것이다.

  • X축은 기업의 수(다양한 상품의 수), Y축은 비용 혹은 가격을 나타낸다.
  • 빨간선 CC는 시장내 기업의 평균비용곡선, 파란선 PP는 시장내 기업의 가격곡선 을 나타낸다.
  • 시장 안에서 기업의 수가 증가 할때마다 기업 한곳이 생산할 수 있는 생산량은 감소한다. 그리고 생산량 감소에 따라 기업들의 평균생산비용은 증가한다. (빨간선 CC가 우상향하는 이유)
  • 시장 안에서 기업의 수가 증가한다면, 각 기업들의 독점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각 기업들이 책정하는 상품가격은 하락한다. (파란선 PP가 하향하는 이유)

윗 그래프는 '내부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는 '독점적 경쟁시장 모델'에서의 균형을 보여준다. X축은 기업의 수(다양한 상품의 수), Y축은 비용 혹은 가격을 나타낸다. 빨간선 CC는 시장내 기업의 평균비용곡선, 파란선 PP는 시장내 기업의 가격곡선을 나타낸다.

이때, 시장 안에서 기업의 수가 증가 할때마다 기업 한곳이 생산할 수 있는 생산량은 감소한다. 그리고 생산량 감소에 따라 기업들의 평균생산비용은 증가한다(빨간선 CC가 우상향하는 이유). 그리고 시장 안에서 기업의 수가 증가한다면, 각 기업들의 독점력은 약해진다. 따라서, 각 기업들이 책정하는 상품가격은 하락한다(파란선 PP가 하향하는 이유).

앞서 말한것처럼, 소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욕구와 규모의 경제 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하는 상황에서 균형 기업의 수는 n2에서 결정된다. n2보다 더 많은 기업이 존재한다면 상품가격은 낮은데 평균 생산비용은 높은 상황이 만들어진다. 결국 이를 감당하지 못하는 기업은 시장에서 나갈 것이다. 반대로 n2보다 적은 기업이 존재한다면 상품가격은 높은데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평균 생산비용은 낮다. 이를 본 다른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하여 결국 균형기업의 수는 n2가 된다.

※ '상품다양성 이익'과 '내부 규모의 경제 실현'을 가져오는 국제무역

다시 반복하자면, 소비자들은 차별화된 상품이 많으면 많을수록 '다양성의 이익'을 누릴 수 있다. 하지만 '고정비용'과 '내부 규모의 경제'가 존재하고 시장크기가 작은 경우, 소비자들이 누릴 수 있는 '다양성의 이익'은 제한된다. '내부 규모의 경제'와 '소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욕구'사이에서 충돌이 발생한 것이다.

문제는 '고정비용'과 '내부 규모의 경제'다. 이것 때문에 소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욕구는 제한되고 있다. 그렇다면 어떻게 이 상황을 벗어나서 상품다양성을 늘릴 수 있을까?

경제학자 Paul Krugman(폴 크루그먼) 1979년에 발표한 논문 () 을 통해, 이러한 상황에서 상품다양성을 늘리는 방법 을 제시한다. 첫번째는 '국내 전체 인구증가'(Labor Force Growth) , 두번째는 국제무역'(International Trade) 이다.

국내에서 인구가 증가하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인구가 증가했다는 말은 제한되어 있던 시장크기가 커졌다는 말 과 같다. 각 기업은 이전보다 더욱 더 많은 양을 생산할 수 있고, 이에 따라 평균 생산비용은 감소한다. 평균 생산비용이 이전에 비해 감소함에 따라 (이전에는 평균생산비용이 높아 시장에 진입하지 못했던) 새로운 기업들이 시장에 진입한다. 따라서, 인구증가는 상품다양성 증가를 가져온 다 .

그렇지만 국내인구를 인위적으로 갑자기 증가시킬 수는 없다. 인구증가로 상품다양성을 증가시키는 방법은 무의미하다. 이때 등장하는 것이 바로 '국제무역' 이다.

국제무역을 통해 다른 나라와 거래를 하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국제무역은 '시장확대'(extending the market) 를 가져온다. 이제 국내 사람들은 무역을 통해 외국 기업이 생산한 상품도 이용함에 따라 상품다양성이 증가 하게된다. 국제무역으로 인해 '상품다양성 증가'(variety gain) 를 누릴 수 있게된 것이다.

또한 국제무역이 발생하기 이전에는, 각 기업들은 제한되어 있는 시장크기로 인해 '내부 규모의 경제' 효과를 제대로 활용할 수가 없었다. 하지만 국제무역이 이루어지면 시장크기가 커져서 기업들은 생산량을 늘릴 수 있고 평균생산비용은 감소 한다. 즉, 국제무역은 '내부 규모의 경제 효과'를 증대 (scale effect) 시킨 역할을 수행했다.

'내부 규모의 경제 효과'가 증대됨에 따라 국제무역 이후 상품가격은 하락하고 국민들의 실질임금은 증가 한다. 국제무역 덕택에 국민들은 '상품가격 하락과 실질임금 상승 효과' 를 누리게 된다.

  • 노란색선(CC1)은 인구증가 이전 · 무역발생 이전의 평균 생산비용을 나타낸다.
  • 빨간색선(CC2)은 인구증가 이후 · 무역발생 이후의 평균 생산비용을 나타난대.
  • 파란색선(PP)은 시장내 기업의 가격곡선 이다.
  • 인구가 증가하고 무역이 이루어진 결과, 소비자들이 향유할 수 있는 상품의 수(혹은 기업의 수)는 n1에서 n2로 증가한다.
  • 게다가 상품가격 또한 P1에서 P2로 하락한다.

이제 그래프를 통해, '인구증가의 효과'와 '무역의 효과'를 이해해보자. 노란색선(CC1)은 인구증가 이전 · 무역발생 이전의 평균 생산비용을 나타낸다. 빨간색선(CC2)은 인구증가 이후 · 무역발생 이후의 평균 생산비용을 나타난대. 파란색선(PP)은 시장내 기업의 가격곡선 이다.

인구가 증가하고 무역이 이루어진 결과, 소비자들이 향유할 수 있는 상품의 수(혹은 기업의 수)는 n1에서 n2로 증가한다. 게다가 상품가격 또한 P1에서 P2로 하락한다. '다양성의 이익'(variety gain)과 '상품가격 하락 효과'(scale effect)가 나타남을 그래프를 통해 볼 수 있다.

이러한 사실 등을 통해 신무역이론의 특징 을 알 수 있다.

첫째로, 국제무역을 하는 이유는 '내부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상품다양성의 이익'을 얻기 위해서 이다. 1세대에서의 국제무역 목적은 내가 가지지 못한 상품을 얻기 위해서였다. 따라서 1세대에서의 무역 상대방은 노동생산성이 다르거나(기술수준이 다르거나) 다른 자원을 가졌었다. 그러나 신무역이론에서의 무역 상대방은 나와 동일한 특징을 지닌 국가여도 괜찮다. 국제무역을 통해 싼 가격에 여러 상품을 소비하는게 중요할 뿐이다. 즉, 비슷한 국가들 사이에서도 국제무역은 발생(similarity) 한다.

둘째로, 신무역이론에서는 비슷한 산업끼리도 무역을 통해 상품을 교환 한다. 1세대에서의 무역은 내가 가지지 못한 혹은 부족한 상품을 수입하기 위해서 행해졌다. 하지만 신무역이론에서의 무역은 똑같은 산업에 속해있는 상품을 교환하는 방식으로 이루어진다. 같은 산업에 속해 있다하더라도 서로 '차별화된 상품' 이기 때문에, 무역을 통해 ' 상품다양성의 이익' 을 얻는 것 이 신무역이론의 목적이다. 따라서, 1세대 무역은 '산업간 무역'(Inter-Industry Trade)만을 이야기하지만, 신무역이론은 '산업내 무역'(Intra-Industry Trade)을 설명할 수 있다 .

셋째로, 국제무역을 유발케하는 것은 '고정비용'(fixed costs)과 '내부 규모의 경제'(internal economies of scale or increasing returns) 이다. 만약 이것들이 없었더라면 국내 소비자는 다양성의 이익을 무한대로 누릴 수 있다. 하지만 ' 고정비용'과 '내부 규모의 경제'로 인해 시장내 상품 다양성의 제약이 생기게 되고, 결과적으로 국제무역을 해야할 유인을 제공 해준다.

넷째로, 국제무역의 효과는 국내인구 증가의 효과와 동일 하다. 인구가 적은 소국도 국제무역을 통해 인구대국 만큼의 상품다양성의 이익을 향유하고 내부 규모의 경제를 실현 할 수 있다. 신 무역이론은 " 국제무역은 마치 나라의 크기가 커진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 " 라고 말한다.

다섯째로, 만약 국제무역을 할 수 없다면 무슨 일이 발생할까?

앞서, ' [국제무역이론 ②] 1세대 국제무역이론 - 헥셔&올린의 보유자원에 따른 무역 ' 에서 ' 무역을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통한 상품의 이동은 생산요소가 직접 이동하는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는 것을 알아보았다. 신무역이론에서도 이러한 효과는 나타난다. 국제무역은 '다른나라 국민들이 우리나라로 이민을 와서 인구가 증가'한 것과 같은 효과를 가져온다.

하지만 국제무역을 할 수 없다면 인구가 적은 소국은 '이민을 통한 인구증가' 효과를 누릴 수 없다. 따라서 소국에 거주하는 사람들은 대국 사람들에 비해 삶의 수준이 낮은 상태 (다양성이익 X, 규모의 경제 실현 X) 에 있게되고, 소국 국민들은 대국으로 이주할 유인을 가지게 된다 .

※ 어떤 국가가 특정상품을 더 많이 수출할까?

이처럼 2세대 국제무역이론 혹은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신무역이론(New Trade Theory)은 내부 규모의 경제로 인해 소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추구가 제한되는 와중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제무역이 등장한다고 말한다. 즉, 무역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차별화된 상품을 소비하는 다양성의 이익(variety gain)이다.

과거 전통적인 국제무역이론은 비교열위(우위) 산업 혹은 희소한(풍부한) 자원을 이용하는 산업이 만들어낸 상품을 수입(수출)만 한다고 이야기 했다. 따라서 전통적인 국제무역이론이 설명한건 '산업간 무역'(Inter-Industry Trade) 이었다.

하지만 신무역이론은 같은 산업내에 속해있는 상품이라 하더라도 차별화된 특성을 지니고 있기때문에, 상품 다양성의 이익을 얻기위해 같은 산업 내부에서 수출· 수입이 동시에 발생한다고 설명 한다. 즉, 신무역이론은 오늘날 주된 무역패턴인 '산업내 무역'(Intra-Industry Trade) 을 설명할 수 있다.

그런데 '산업내 무역'(Intra-Industry Trade)이 이루어질때, 같은 산업 내에서 각 국가가 수출하는 상품량이 똑같을까? 예를 들어, A국과 B국 사이에 자동차 산업내 무역이 발생한다고 생각해보자. 양 국가는 차별화된 자동차를 생산함으로써, 자국의 자동차 상품을 수출한다. 이때 A국이 수출하는 자동차 상품량과 B국이 수출하는 자동차 상품량이 똑같을까? 앞서 살펴본, Paul Krugman (폴 크루그먼) 의 1979년 논문 은 이것을 이야기하지 않는다.

엘하난 헬프먼은 '신무역이론'에 전통적인 무역이론인 '헥셔-올린 모형' 을 결합 하였다. ' 헥셔-올린 모형 '은 "자본풍부국은 자본집약적 상품만을 수출하고, 노동풍부국은 노동집약적 상품만을 수출한다." 라고 말한다. 그리고 '신무역이론'은 "각 국가는 상품다양성을 얻기위해 같은 산업에 속한 상품을 교환한다." 라고 말한다. 이들을 결합하면 어떤 결과가 나올까? 바로, "자본(노동)풍부국은 상품다양성을 얻기위해 자본(노동)집약적 상품을 수출함과 동시에 수입하지만, 수입보다 수출을 더 많이 한다. 즉, 자본(노동) 풍부국은 자본(노동)집약적 상품을 순수출(net export) 한다 ."

※ 신무역이론이 우리에게 알려주는 사실은?

- '무역자유화의 이점'(benefits of Trade Liberalization)

이번글을 통해 '신무역이론'(New Trade Theory) 혹은 '2세대 국제무역이론'에 대해서 알아보았다. 계속 반복하지만 , 신무역이론 은 내부 규모의 경제로 인해 소비자들의 상품다양성 추구가 제한되는 와중에, 이를 해결하기 위한 수단으로 국제무역이 등장한다고 말한다. 이때 무역으로부터 얻을 수 있는 이익은 '차별화된 상품을 소비하는 다양성의 이익(variety gain)'이다. 이러한 사실을 통해 우리는 한 가지 사실을 이끌어낼 수 있다. 바로 '무역자유화의 이점'(benefits of Trade Liberalization) 이다.

리카도의 '비교우위론' 하에서 무역개방은 비교열위 산업의 고용을 축소시킨다. 또한 '헥셔-올린 모형' 하 에서 무역개방은 희소한자원을 이용하는 산업의 임금을 하락시킨다. 무역개방이 경제 전체의 총고용에는 악영향을 미치지 않는다고 하더라도 [각주: 2 ] , 무역자유화로 인해 피해가 보는 산업이 생기게된다. 이는 무역개방이 '우리와는 특성이 다른 국가와 산업간 무역을 증가시키는 형태'로 이루어지기 때문이다.

그러나 '신무역이론'에서는 무역개방으로 인해 피해를 보는 산업이 나타나지 않는다. 모든 산업이 '다양성의 이익'을 누릴 수 있다. 따라서 역개방이 ' 산업구조가 비슷한 국가와의 무역을 통해 규모의 경제를 실현하고 산 업내 무역 을 증가시키는 형태 '로 이루어진다면 무역자유화의 이점은 극대화 된다. 국제무역은 전세계 국가에 win-win을 안겨다 줄 수 있다..

(주 : 앞으로 다른글을 통해 '자유무역이 가져다주는 이점'을 더 자세히 다룰 계획이다.)

※ 신무역이론 이용하여 사회현상 바라보기

이론을 배우기만 하고 현실에 적용할 줄 모른다면 이론공부를 한 의미가 없다. 이제 이번글을 통해 알게된 '신무역이론' 지식을 이용하여 사회현상을 바라보도록 하자.

2014년 8월, 영화계의 화제 는 '영화 의 스크린 독과점' 문제였다. "영화 을 제작한 CJ가 영화흥행을 위하여 자사극장 CJ CGV 스크린을 독점했다."는 비판이 많이 제기되었었다. 이러한 비판에 대해 본인은 ' [경제학으로 세상 바라보기] 영화 의 스크린 독과점에 대하여 ' 글을 통해 몇가지 반론을 제기했었다.

반론의 핵심은 "영화 의 스크린 독과점은 단순히 대기업 CJ의 탐 욕 때문이 아니다. 이는 '고정비용'이 존재하고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영화산업의 특징이 만들어낸 결과이다. 시장의 크기가 작은 곳에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상품에 대한 욕구'와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산업' 간의 충돌이 발생 하게 된다."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이었다.

본인은 그것보다는 의 제작비에 관심이 간다. 의 제작비는 180억원 인데 한국영화시장에서 '제작비 180억'은 엄청난 금액이다. 그리고 제작비를 회수하기 위한 손익분기점 관객수는 550만이나 된다. 다르게 말해, 명량>은 엄청난 ' 고정비용 '이 투자된 상품 이고, 관객수가 늘면 늘수록 평균비용이 떨어지는 ' 규모의 경제 '가 작동 하고 있다.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산업에서 중요한 것은 '시장의 크기' 이다. 시장의 크기가 클수록 생산량이 증가하여 평균비용을 하락시킬 수 있기 때문이다. 그런데 시장의 크기가 제한되어 있고 다양한 상품이 시장에 나온다면 어떤 일이 발생할까?

소비자들은 '다양한 상품'을 원한다. 그렇지만 다양한 상품이 시장에 나오고 판매량이 분산된다면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산업'은 생산비용이 급증하게 된다. 즉, 시장의 크기가 제약되어 있고, 다양한 상품으로 인해 판매량이 분산된다면,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산업은 심각한 적자 를 보게 된다. 그 결과, 시장의 크기가 작은 곳에서는 소비자들의 '다양한 상품에 대한 욕구'와 '규모의 경제가 작동하는 산업' 간의 충돌이 발생 하게 된다.

이러한 충돌을 완화시켜주는 것은 '국제무역' 이다. 각 나라와 산업들은 국제무역을 통해 시장크기를 넓힘으로써 규모의 경제를 원활히 작동시킬 수 있다. 그리고 소비자들은 다양한 상품을 획득할 수 있다.

[경제학자 Paul Krugman은 '독점적 경쟁시장'과 '시장크기'에 관한 국제무역이론을 수립하고 지리경제학 분야를 개척한 공로로 노벨경제학상을 수상한다.]

그러나 은 국제무역을 통해 시장을 확대할 수 없다 . 이순신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일본에 수출할 수 있나? 한국의 영웅을 배경으로 한 영화를 미국 사람이 볼까? 제작비 500억이 투입된 의 경우 세계각지에 수출함으로써 '한국 시장크기의 제약'에서 벗어날 수 있었지만, 은 그것이 불가능하다. 따라서, 투자비용 회수를 위해 한국영화시장 안에서 (다른 영화들에 비해) 스크린 수를 대폭 늘릴 수 밖에 없는 것 이다.

이러한 요인으로 인해 제작비가 많이 투입된 한국 대작영화가 개봉할 때마다 스크린 독과점 문제가 발생할 것이다. (물론, 그 영화가 흥행하지 않는다면 독과점 문제가 불거지기 전에 자연스럽게 상영관수가 줄어들겠지만. ) 이것을 고려한다면 단순하게 배급사와 상영사의 독점을 특정 영화의 스크린 독과점의 원인으로 돌릴 수 없을 것 이다. 이는 '규모의 경제'와 '시장크기'가 관련된 문제 이기 때문이다.

독점 시장과 완전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독점 시장과 완전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a : 독점 기업에는 가격을 결정하고 재화와 용역의 공급 수준을 결정하는 유일한 회사가 있으며 시장 전체를 통제합니다. 독점적 인 시장과는 반대로, 완전 경쟁 시장은 어느 회사도 시장 통제력을 갖고 있지 않은 많은 회사들로 구성됩니다.

독점 시장에서는 기업이 시장을 완전히 통제 할 수 있기 때문에 상품과 서비스의 가격이 일반적으로 높습니다. 이런 유형의 시장에서 기업은 상품과 서비스의 시장 가격을 통제하기 때문에 가격 결정자입니다. 기업은 전체 시장 점유율을 가지고있어 입국 및 출국이 어렵다. 독점 시장 진입 장벽이 높기 때문에 시장에 진입 할 수있는 기업은 여전히 ​​하나의 큰 회사가 지배하고 있습니다. 독점 시장은 일반적으로 단일 판매자를 포함하며 구매자는 자신의 상품이나 서비스를 어디에서 구매할 지 선택할 수 없습니다.

완전한 경쟁을 경험하는 시장에서 가격은 수요와 공급에 의해 결정됩니다. 완전 경쟁 시장의 기업은 어느 한 회사도 총 시장 통제력을 가지고 있지 않기 때문에 모든 가격 결정자입니다. 독점 시장과는 달리, 완전 경쟁 시장의 기업은 시장 점유율이 작습니다. 진입 장벽은 상대적으로 낮아 기업이 쉽게 출입 할 수 있습니다. 독점적 인 시장과는 달리 완벽하게 경쟁하는 시장에는 많은 구매자와 판매자가 있으며 소비자는 자신의 상품과 서비스를 어디에서 구매할 것인지 선택할 수 있습니다.

자본 시장과 주식 시장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자본 시장과 주식 시장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는 주식 시장과 자본 시장의 차이점에 대해 알아 봅니다. 몇 가지 중요한 주식 시장을 파악하고 자본 시장이 어떻게 사용되는지 이해하십시오.

완전 경쟁과 불완전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완전 경쟁과 불완전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입니까?

는 완벽한 경쟁과 불완전한 경쟁의 차이점과 불완전한 경쟁으로 간주되는 시장의 유형을 학습합니다. 완벽한 경쟁은 시장 세력에 의해 전적으로 통제되는 시장 구조를 설명하는 미시 경제학 개념이다.

독점 시장과 독점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독점 시장과 독점 경쟁의 차이점은 무엇인가?

는 독점 시장과 독점적 경쟁 및 독점 시장과 독점적 경쟁 시장 간의 주요 차이점을 학습합니다. 독점적 시장이란 특정 재화 나 서비스를 공급하는 공급 업체가 하나 뿐인 경우에 존재하는 경제적 시장 구조이다.

시장과 경쟁

독점시장은 어떤 특정 시장에 기업 ( 생산자 ) 가 하나만 존재하는 경우이다 . 예를 들어 우리나라의 철도 ( 코레일 ), 전기 ( 한국전력 ), 수도 ( 한국수자원공사 ) 등이 있다 . 독점의 이유는 진입장벽에 의해 다른 기업이 진입하지 못 하는데에 있는데 , 이런 진입장벽이 만들어지는데는 크게 생산요소의 독점 , 정부에 의한 독점 , 규모의 경제에 의한 독점 3 가지로 나눌 수 있다 .

독점시장에서 기업의 균형생산량 ( 이윤극대화 생산량 ) 을 도출하는데 있어서 완전경쟁기업과 독점기업 간의 가장 큰 차이점은 한계수입이다 .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시장의 수요곡선에 따라 가격이 결정되면 그 가격에 얼마든지 공급을 맞춰 생산해서 판매할 수 있지만 독점기업은 공급을 증가시킬수록 수요가 감소하기 때문에 시장수요에 따라 가격과 생산량을 결정해야한다 .

모든 기업의 목표는 이윤극대화이기 때문에 독점시장에서의 기업 또한 이윤을 극대화하기 위해 균형을 이뤄야 한다 . 독점기업의 생산량은 완전경쟁기업과 마찬가지로 이윤극대화 조건을 통해 구할 수 있다 . 이윤극대화의 조건은 “ 한계수입 (MR) = 한계비용 (MC)” 이다 .

위 < 그림 6>에서 Q 는 이윤극대화의 조건에서 균형 생산량이고 , P 는 균형 생산량이 시장에 공급되었을 때의 가격이다 . D 의 면적은 총수입에서 총비용을 뺀 이윤이다 .

독점적경쟁시장이란 다수의 기업들이 같은 소비자 집단을 대상으로 경쟁 ( 다수의 공급자 ), 각 기업이 경쟁기업과 차별화된 재화를 생산 ( 제품 차별화 ), 자유로운 진입과 퇴출이라는 특성을 가지고 있다 . 이 중 첫 번째와 세 번째 특성은 완전경쟁시장고 유사한 특성을 가지고 있는데 두 번째 특성때문에 각 기업은 독점 기업처럼 행동하게된다 . 독점적경쟁시장은 식당 , 학원 , 병원 , 가구점 , 스크린 골프장 등이 있다 .

독점점경쟁시장에서의 균형은 단기균형과 장기균형이 있다 . 단기균형의 단기는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거나 기존의 기업이 퇴출할 수 없는 기간을 뜻한다 . 따라서 아래 < 그림 7>의 (a) 처럼 이윤극대화 조건에서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평균비용 (AC) < 수요이면 빗금친 파란색 박스만큼 초과이윤이 발생하고 , (b) 처럼 평균비용 (AC) >수요이면 빗금친 파란색 박스만큼 손실이 발생한다 .

장기균형 상태에서는 위의 (a) 상태가 발생하면 새로운 기업이 진입해서 기업의 수가 증가하면서 초과이윤이 축소할것이다 . 반대로 (b) 상태가 발생하면 기존 기업 중 일부가 퇴충하여 기업의 수가 감소하고 남아있는 기업이 직면하는 수요는 증가하면서 손실이 축소하여 장기적으로 정상이윤에 수렴할 것이다 . 장기균형의 그래프는 아래 < 그림 8>과 같다 .

완전경쟁시장에서 단기균형과 장기균형

완전경쟁시장이란 수많은 소비자와 생산자가 존재 해야하며 , 생산자가 공급하는 재화는 동일하고 , 소비자와 생산자는 필요한 모든 정보를 가지고 있으며 , 기업이 자유롭게 시장에 진입하고 퇴출할 수 있어야 한다 .

기업의 목표는 이윤극대화이고 이윤은 총수입 (TR) – 총비용 (TC) 이다 . 여기서 총수입 (TR) 은 생산량 (Q) * 가격 (P) 이다 . 또한 완전경쟁시장에서는 시장의 수요와 공급에 따르기 때문에 이윤을 늘리기 위해 생산을 늘리거나 줄여도 시장가격은 변하지가 않는다 . 따라서 한계수입 (MR) = 가격 (P) 이다 .

완전경쟁시장에서의 균형은 단기균형과 장기균형이 있다 . 단기균형의 단기는 새로운 기업이 진입하거나 기존의 기업이 퇴출할 수 없을 만큼 짧은 기간을 의미한다 . 아래의 < 그림 5,6>은 완전경쟁시장의 단기균형에 해당하는 그래프이다 .

위 조건을 가지고 완전경쟁기업의 이윤극대화 생산량을 살펴보면 < 그림 5,6>과 같이 초과이윤을 누리는 기업 (A) 과 손실을 보지만 조업을 계속하는 기업 (B) 로 나눠볼 수 있다 . (A) 에서 MR 과 MC 가 만나는 지점엔 a 점이 AC 보다 위에 있는 만큼 초과이윤이 발생한다 . (B) 에서는 MR 과 MC 가 만나는 지점 b 가 AC 보다 밑에 있는 만큼 손실을 보게된다 . (B) 에 해당하는 On the other hand: 독점적경쟁시장 태그의 글 목록 기업의 경우 손실을 최소화하는 것이 이윤을 극대화하는 방법이며 , 시장 수요가 감소하여 가격이 하락하면 하락한 가격에 재화를 팔아야 하기 때문에 손실이 더 커진다 .

이때 (B) 에서 b 점이 평균변동비율 (AVC) 보다 낮다면 조업을 중단하는게 좋고 높다면 손실이 발생하더라도 조업을 계속 하는 것이 유리하다 . 생산을 하고있을 때 손실 금액은 파란색 빗금인 8,000 원이 발생하지만 , 생산을 중단하면 고정비용이 계속 발생하는데 고정비용은 ATC-AVC 이므로 총비용 (40,000) – 변동비율 (24,000) 을 뺀 16,000 원만큼 계속 손실을 보게된다 .

이렇게 기업은 단기적으로는 초과이윤을 발생시키거나 손실을 보는 2 가지의 케이스가 가능하다 . 이 완전경쟁시장에서 만약 (A) 처럼 초과이윤을 누리는 기업이 많이 발생하면 어떻게 될까 ? 이윤을 보기 위해 새로운 기업들이 대거 진입할 것이다 . 새로운 기업들이 대거진입하면 어떻게 될까 ? 수요와 공급 그래프에서 공급이 증가하면서 수요가 감소할 것이다 . 따라서 장기균형으로 보면 정상이윤으로 수렴할 것이다 .

위 그래프처럼 한 배추 농가가 빗금 친 파란색 박스만큼의 추가 이윤을 보게 된다면 많은 기업들이 이 시장에 대거 진입할 것이다 . 그러면 그만큼 < 그림 8>에서처럼 수요 공급곡선에서 공급의 양이 증가하게 되고 낮아지 가격만큼 한계비용 (MR) 이 낮아져서 이윤이 0 인 정상이윤에 수렴하게 된다 .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