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 HintAbout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16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KOSPI와 금시세 (출처 : KRX금시장)

[서울=뉴시스] 강수윤 기자 = 최근 미국 경기침체와 글로벌 인플레이션에 대한 우려로 증시 변동성이 확대되면서 안전자산과 대체투자자산으로서 금 투자에 대한 관심이 높아지고 있다.

20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지난달 말 기준 국제 금시세는 1816.59달러, 국내 금시세는 7만5960원을 기록했다. 이는 지난해 말 기준 국제 금시세(1798.57달러)와 한국거래소 금시세(6만8960원)보다 큰 폭으로 반등한 것이다.

이에 따라 KRX금시장의 일평균 거래량은 지속적으로 늘어나고 있다. 올해 상반기 일평균 거래량은 111.7㎏으로 2020년(105.6㎏)과 2021년(114.1㎏)보다 증가했다.

한국거래소는 주식, 파생상품, 국채 등을 거래하는 국내 유일의 종합거래소다. 투명한 금시장 육성을 위해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2014년 3월24일 KRX금시장을 개설했다. 한국거래소 KRX금시장에서 거래되는 금은 한국조폐공사가 인증하는 순도 99.99%의 고품질이다. 모두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돼 있으며 KRX금시장의 거래 동향과 호가정보 등은 완전히 공개돼 있다.

또 KRX금시장은 금 투자 관련 수수료가 저렴하고 개인투자자도 도매가격인 국제 금시세로 매매가 가능한 '가격경쟁력'을 갖춘 시장으로 평가받고 있다는 게 거래소의 설명이다.

금 투자 방법에는 KRX금시장 매매, 금 실물 매매(금은방), 골드뱅킹, 은행 금신탁 등 여러 가지가 있다. 그 가운데 저렴한 가격에 금을 살 수 있는 방법으로는 KRX금시장을 통한 금 투자가 꼽히고 있다.

KRX금시장 시세는 국제금시세 대비 100.1~100.4% 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되고 있다. 국제금시세는 금 생산·수입업체 등의 거래기준 가격인데 KRX금시장에서는 이러한 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는 장점이 있다. 증권사 HTS와 같은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0.3% 내외의 저렴한 수수료로 매매할 수 있다. 이는 은행 골드뱅킹의 1% 등 다른 투자수단 대비 가장 저렴한 수준이다.

associate_pic4

[서울=뉴시스] 조수정 기자 = 주식시장과 가상자산시장의 부진이 이어지고 안전자산인 금값이 오르자 개미들이 금시장으로 몰리고 있다. 금 상장지수펀드(ETF)를 중심으로 매수세가 유입되고 있다. 14일 한국거래소에 따르면 전날 개인투자자들은 'KINDEX KRX금현물' ETF를 3억4733만원 순매수했다.14일 오후 서울 종로구 한국금거래소에서 직원이 금을 확인하고 있다. 2022.06.14. [email protected]

KRX금시장의 가장 큰 장점은 매매차익의 비과세다. 이는 다른 어떤 투자수단에서도 볼 수 없는 혜택이다. 골드뱅킹, 금 상장지수펀드(ETF)의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과세되고, 차익의 15.4%가 원천징수 된다. 매매차익이 비과세되므로 당연히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도 아니다.

KRX금시장에 상장된 종목은 1㎏ 골드바와 100g 골드바 등 총 두 가지다. 투자자는 금을 투자할 때 하나를 선택할 수 있다.

1㎏ 골드바나 100g 골드바 모두 거래단위는 1g으로 투자자는 6~7만원 내외의 소액으로 금에 투자할 수 있다. 다만 실물로 인출하는 경우에는 각각의 상품에 따라 1㎏ 단위 또는 100g 단위로 인출할 수 있다. 실물로 인출하는 경우 부가가치세 10%가 부과되지만 이는 골드뱅킹, 실물 매수 등 다른 투자수단도 마찬가지이다. 실물인출 수수료(개당 약 2만원) 역시 다른 투자수단 대비 가장 저렴하다.

한국거래소 관계자는 "KRX금시장은 고품질의 금을 저렴한 가격과 낮은 수수료로 거래하고 비과세 혜택까지 누릴 수 있는 정부정책시장"이라며 "투자수익을 기대하는 투자자와 금 실물 보유를 원하는 투자자 모두에게 가장 합리적인 시장"이라고 말했다.

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안전자산인 금에 투자하는 사람이 많아졌지만, 자신에게 잘 맞지 않는 방식으로 금 투자를 하고 계신 분들이 많습니다.
오늘은 금 투자의 첫 단추인 다양한 금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고, 이 중 많은 사람들이 선호하는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에 대해 자세히 알아보겠습니다.

금 투자 방법

금에 투자할 수 있는 모든 방법에는 장단점이 있기 때문에 어떤 것이 무조건 좋다고 말할 수는 없고, 정답도 없습니다.

결국 각 방법의 차이를 이해하고 자신에게 가장 잘 맞는 방법을 선택하여 금 투자를 시작하는 방법만 있습니다.

아래에서 대표적인 금 투자 방법 5가지에 대해 알아보겠습니다.

실물거래는 말 그대로 직접 골드바를 구입하는 방식을 발합니다.

영화나 티비에서 보는 큰 골드바 외에도 다양한 크기의 금(실물)을 구입할 수 있습니다.

실물거래의 장점은 전쟁이나 국가 재난 사태가 일어났을 때 직접 보유할 수 있다는 것입니다(보험용).

물론 그런 일이 발생할 확률은 매우 낮겠지만, 분단국가에서 일어나지 말라는 법도 없죠.

금 투자 방법

그래서 실제로 금 투자의 일부는 실물을 보유하고 있는 분들도 있습니다.

반대로 직접 금을 보관하고 관리해야 한다는 점은 실물거래의 단점입니다.

분실의 우려가 있고, 관리에 드는 에너지도 무시할 수 없죠.

비용측면에서는 구입할 때 부가가치세가 10% 붙기 때문에 처음부터 10% 비싼 가격에 구입하는 꼴이 됩니다.

그렇기 때문에 실물 금을 보유할 계획이라면 비중은 조절을 하는 것이 바람직합니다.

금통장(골드 뱅킹)

금 투자라고 하면 실물거래 다음으로 떠오르는 방법이 금통장(골드 뱅킹)입니다.

금통장은 가입이나 개설이 용이하기 때문에 많은 분들이 선호하는 방식입니다.

가까운 은행에서 쉽게 만들 수 있어 접근성이 좋다는 점이 금통장의 가장 큰 장점입니다.

그리고 금을 아주 적은 단위(0.01g)로 거래할 수 있기 때문에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도 장점으로 꼽힙니다.

단점이라고 하면 매매할 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 HintAbout 때 1%의 수수료가 부과된다는 점(살 때, 팔 때 모두), 그리고 소득에 대해서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된다는 점입니다.

나름대로 장점이 많기 때문에 실물을 보관하는 것도 어렵고, 증권사를 이용하는 것이 더 번거로운 분들이라면 금통장을 이용하는 것도 나쁜 선택은 아닙니다.

금통장은 국제 금 가격을 고려하여 은행해서 고시한 가격으로 거래합니다.

금 투자 방법

금 시세는 아래 링크에서 살펴볼 수 있으니 참고해 보시기 바랍니다.

금펀드는 직접 금에 투자다하는 것이 아니라 금과 아주 밀접한 관련이 있는 회사들에 투자하는 것이라고 보면 됩니다.

쉽게 설명하자면 금을 캐는 회사, 금광을 보유하고 있는 회사 등이 있는데, 펀드 상품 하나가 이런 회사들을 고루 담고 있고, 우리는 이런 펀드 상품에 가입해 투자하는 것입니다.

금펀드는 금 가격과 직접적으로 연동되고 있지 않기 때문에 만약 금 값이 10% 상승했다고 해도, 금펀드 상품은 더 적게 오를 수도 더 많이 오를 수도 있습니다.

반도체 가격이 상승하면 반도체 관련 회사들의 주식이 같이 오르는 것과 마찬가지입니다.

이 점은 누군가에게는 장점일 수 있지만, 반대로 단점일 수도 있겠죠.

금펀드는 아니지만, 국내 주식 중에 금 시세에 영향을 많이 받는 주식 종목으로는 고려아연이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사고 팔 때의 수수료를 부과되지 않지만, 연간 보수가 들어갑니다.

금투자의 특성상 그럴 일을 잘 없지만, 매매 수수료 부담이 적어 매매가 잦은 분들께는 장점이 됩니다. 하지만 보통 금은 장기 보유하기 때문에 매년 지급해야하는 연간 보수의 수준을 잘 확인해야합니다.

결국 금펀드는 자신의 투자 계획에 따라 선호하는 방식일 수도, 반대일 수도 있습니다.

또한, 금펀드 역시 수익에 대한 15.4%를 배당소득세로 내야 한다는 점도 투자 전 고려해야 하겠습니다.

금펀드는 증권사에서 별도의 계좌를 개설해서 투자를 시작해야합니다.

금 ETF, ETN

다음으로 소개드릴 방법은 국내외 금 ETF나 ETN을 이용하여 금에 투자하는 것입니다.

증권사 계좌에서 어떤 회사의 주식을 사듯 금 ETF를 사면 되기 때문에 주식 계좌가 있으신 분들은 금 투자를 위해 별도의 노력이 들지 않는다는 점 그리고 실시간으로 사고 팔 수 있다는 점이 장점입니다.

국내에 상장된 ETF(ETN)은 배당소득세 15.4%가, 해외에 상장된 ETF(ETN)은 해외 주식과 마찬가지로 연간 총수익이 250만 원이 넘으면 22%의 양도소득세가 부과되므로 이 점을 염두에 두고 시작하셔야 합니다.

대표적인 ETF상품으로는

  • 국내 : KODEX 골드 선물(H)
  • 해외 : SPDR GOLD SHARED(틱 : GLD)

KRX 금시장

마지막으로 KRX 금 시장에 대해 소개합니다.

개인적으로는 금 투자를 할 때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가장 합리적 투자 방법이라고 생각하고, 실제로도 KRX 금시장에서 금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은 아래에 있습니다).

KRX 금시장은 현물시장으로 한국예탁결제원에서 금을 보유하며, 우리는 증권사에서 KRX 금 계좌(금 현물 계좌)를 개설해서 주식을 사고 팔듯이 실시간으로 금을 사고 팔 수 있습니다.

1g 단위로 금 현물 투자를 하는 것이죠.

KRX 금시장의 가장 큰 장점은 수수료나 세금이 적다는 것이며, 제가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을 추천하는 이유도 바로 이것 때문입니다.

증권사 수수료가 일부 부과되지만, 실물거래에서 부과되는 부가가치세 10%가 없고, 양도소득세나 배당소득세 10%도 부과되지 않습니다.

주요 증권사 수수료는 아래 표를 참고해주세요.

증권사 매매수수료 보관수수료
미래에셋증권 0.15% 0.0002%
키움증권 0.33% 0.0002%
NH투자증권 0.22% 없음
한국투자증권 0.25%
삼성증권 0.275%
신한금융투자 0.284%
KB증권 0.33%

미래에셋증권과 키움증권에서는 적지만 일부 보관수수료가 부과된다는 점 참고하십시오.

그리고 보유한 금을 실물로 인출하고 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 HintAbout 싶다면 부가가치세(거래가격의 10%)를 내고 인출할 수도 있습니다.

인출할 때는 100g, 1,000g단위로 인출할 수 있으니 참고하시기 바랍니다.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그럼 이제 KRX 금 거래소 이용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방법에 대해 설명 드리겠습니다.

참고로 저는 NH투자증권에서 KRX 금 투자를 하고 있습니다.

앞서 표에서 살펴보았듯 NH투자증권이 수수료가 가장 저렴하고 또 이미 사용하고 있는 증권사여서 가입 절차부터 진행하지 않아도 되기 때문입니다.

소액이라면 증권사 수수료의 차이가 크지는 않기 때문에 보유하고 있는 증권사에서 추가로 금현물 계좌를 개설하면 될 것 같습니다.

아래는 NH투자증권 MTS를 이용한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금현물 계좌 개설부터, 금 투자를 하는 방법까지)입니다.

타 증권사 MTS를 살펴보니 메뉴가 거의 동일하니 참고하여 진행하시면 되겠습니다.

먼저 금현물 계좌를 개설합니다. 이미 증권사 계좌가 있더라도 별도로 금현물 계좌를 개설해야 합니다.

전체메뉴에서 MY/고객센터 > 계좌개설 > 모바일계좌개설에 들어갑니다.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아래와 같이 NH투자증권에서 개설할 수 있는 모든 계좌 유형이 나오는데, 금현물계좌(KRX전용)을 선택하여 진행하면 됩니다.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만약 이런 메뉴가 없는 증권사라면, 아래 내용을 참고하시면 되겠습니다.

전체 메뉴에서 금현물주문(또는 유사한 이름) 메뉴가 있을 텐데, 금현물 계좌가 없다면 계좌 개설 화면으로 넘어갈 것입니다.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KRX 금현물 계좌를 개설한 후에는, 금현물현재가 또는 금현물주문 메뉴만 이용하면 됩니다.

금현물현재가 메뉴에 들어가면 일반 주식과 마찬가지로 호가, 차트, 수급 등 정보를 확인할 수 있고,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매매를 할 때는 금 현물 주문 메뉴에서 진행합니다.

금 현물 계좌가 있다면 아래와 같은 화면이 나올 것이고, 표시한 부분에 금 현물 계좌번호가 보입니다.

금 사는 법은 먼저 해당 계좌에 이체(금 현물 계좌에 이체할 때는 일반 은행 계좌에 이체하는 것과 동일)를 하고, 아래 매수 화면(금 현물 주문)에서 원하는 g을 입력한 후 매수 버튼을 누르면 됩니다.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여기까지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과 금 투자 방법에 대해 알아보았습니다.

투자자산 배분 관점에서 5~7% 정도를 금에 투자하라고 합니다.

암호화폐가 금을 대체할 것이라는 전망도 있지만, 개인적으로는 금이야 말로 앞으로도 꾸준히 가치를 인정받을 수 있는 원자재가 아닐까 생각해봅니다.

금 투자 방법 & KRX 금현물 계좌 증권사별 수수료 비교

KOSPI와 LBMA 국제금가격 (출처 : KRX금시장)

- 과거부터 현재까지 금 가격 -KOSPI 지수와 금시세(USD/toz.)

KOSPI와 금시세 (출처 : KRX금시장)

【 금 투자 방법 】

① 금 구매 (순금장식품)
② 골드바 구매
③ 금 ETF (국내/해외 선물) 투자
④ 금 통장 (시중은행 골드뱅킹) 상품 가입
⑤ KRX 금현물 투자

금투자 방법에 따른 수익률 비교 (출처 : KRx금시장)

1. 금 구매 (금은방)

- 방법 : 금은방 등 시중에서 금 현물 또는 순금 장식품 (목걸이, 반지 등)을 구매하는 방법

- 추가 비용 : 인건비, 판매처수익, 수수료 등

2. 골드바 구매

- 방법 : 순도가 높은 골드바 (제품 순도 999.9 ‰) 를 구매 (참고로 시중의 순금 액세서리의 순도는 99.5% 수준)

- 추가 비용 : 부가세 10%, 거래수수료 5%, (기타 보관비용 등)

3. 금 ETF - 국내/해외 금 ETF 선물/펀드

- 방법 : 국내/해외 주식시장의 금 ETF (선물 및 펀드) 에 투자

1) KODEX 골드선물 (H) - 삼성자산운용 (보수 0.68%)

  • 상세 정보 : https://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24

2) TIGER 골드선물 (H) - 미래에셋자산운용 (보수 0.39%)

  • 상세 정보 : https://www.tigeretf.com/npc/product/product.do?ksdFund=KR7139320006

3) TIGER 금은선물 (H) - 미래에셋자산운용 (보수 0.70%)

  • 상세 정보 : https://www.tigeretf.com/npc/product/product.do?ksdFund=KR7319640009

4) KODEX 골드선물인버스 (H) - 삼성자산운용 (보수 0.45%)

  • 상세 정보 : http://www.kodex.com/product_view.do?fId=2ETF94

5) KINDEX 골드선물 레버리지 (합성 H) - 한국투자신탁운용 (보수 0.49%)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 HintAbout

  • 상세 정보 : http://www.kindexetf.com/fund/getFundInfo.etf?fundCD=9000S&tabMenuNo=1

국내 금 ETF (선물) 상품 국내 금 ETF (펀드) 상품

4. 금 통장 (시중은행 골드뱅킹)

- 매매차익 배당소득세 15.4%, 부가세 10%, 실물인출시 5%

1) 신한은행 - 신한골드리슈골드테크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bank.shinhan.com/index.jsp#020703010600

2) KB 국민은행 - KB골드투자통장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obank.kbstar.com/quics?page=C016622

3) 우리은행 - 우리골드투자 (거래단위 : 0.01g, 거래통화 : KRW)

  • 상세 정보 : https://spot.wooribank.com/pot/Dream?withyou=POGLD0002&cc=c004273:c011984&PRD_CD=P100000001&PRD_YN=Y

은행권 금 통장 누적 판매 중량 (출처: 아시아경제)

5. 금현물 투자 (KRX 금시장)

- KRX금시장 : 정부의 금 거래 양성화 계획에 따라 한국거래소가 금융위원회 승인을 받아 설립(‘14.3.24)하여 운영하고 있는 금 현물시장. KRX금시장은 주식처럼 편리하게 증권사(10개사*)를 통해 계좌 개설후 증권사 거래시스템에서 투자자가 직접 거래하는 방식

- 거래 방법 : 금현물 전용계좌

* 대신증권(주), 미래에셋대우(주), 삼성증권(주), 신한금융투자(주), 유안타증권(주), 키움증권(주), 하나금융투자(주), 한국투자증권(주), KB증권(주), NH투자증권(주)

- 추가 비용 : 실물 인출시 부가세 10%

KRX금시장 (출처 : KRX금시장)

KRX 금시장은 국제금의 선물가격을 반영합니다.

가격이 크게 상승했던 지난해 일평균거래량은 105.6kg로 전년 대비 142.6% 증가했고 올해도 작년보다 27.2%가 증가한 134.4kg의 일평균거래량을 기록하고 있습니다.

이에 안전자산 및 대체투자자산으로서의 금에 대한 관심이 증가하고 있습니다.

오늘은 KRX 금시장 거래방법과 그외 금투자 거래별 특징과 과세문제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KRX 금시장이란?

KRX 금시장은 국내 유일의 정부 정책 시장입니다.

여러개의 골드바

KRX 금시장은 국내 유일의 정부 정책 시장으로 정부의 금 거래 양성화 계획에 따라 2014년 개설된 금현물 거래시장입니다.

KRX 금시장은 금거래시장 중 가장 저렴한 비용으로 유일하게 비과세 혜택을 받을 수 있는 정부정책시장으로 시세차익을 기대하는 투자자와 금 실물인출을 원하는 투자자 모두에게 가장 효율적인 금거래 시장입니다.

주식거래를 하는 방법처럼 증권사 MTS나 HTS를 이용해 계좌를 개설한 뒤 투자하는 사람이 편리하게 직접 거래를 할 수 있습니다.

KRX 금시장 금 투자 장점

금 투자 방법에 대한 개인 투자자의 관심이 뜨겁습니다.

금시세그래프

과거 금은 많은 분들이 재테크 수단으로 사용했으나 비트 코인과 주식 등 다른 재테크 수단이 생기며 과거에 비해 투자시장에서 관심을 덜 받기도 했습니다.

예전처럼 현물로만 금을 거래하는 것이 아닌 국내외 ETF를 비롯해 골드바와 금 채굴회사 펀드등 금 투자에 대한 방식이 여러가지로 늘어나고 있습니다.

그 중 일반적인 투자 목적이라면 KRX 금시장이나 해외상장 금 관련 주가연계증권(ETF)이 과세 측면이나 거래 편의성 측면에서 상대적으로 이익이며 장점은 다음과 같습니다.

1. 매매차익 비과세 / 낮은 수수료

KRX금시장의 가장 큰 장점은 매매차익에 대해 비과세 된다는 점입니다. 골드뱅킹, 금ETF의 매매차익은 배당소득으로 과세되고 차익의 15.4%가 원천징수 된다. 매매차익이 비과세되기 때문에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도 아닙니다. 과세가 3% 면제되 실제로 가격인하해 매수하는 효과가 있습니다.

2. 쉽고 편리한거래

주식투자 하는 방식처럼 금거래도 주식처럼 MTS/HTS로 거래 가능합니다. 그래서 개인 투자자도 쉽게 거래가능하며 방법도 쉽습니다.

3. 공정한 가격 형성

KRX 금시장 시세는 국제금시세 대비 100.1 ~100.4% 수준에서 가격이 형성되고 있습니다. 국제금시세는 금 생산·수입업체 등의 거래기준가격으로 이른바 도매가격의 개념입니다. KRX금시장에서는 이같은 국제도매가격으로 거래할 수 있습니다.

주식투자와 마찬가지로 매수, 매도자가 동시에 거래 참여하기 때문에 공정한 시장가격이 형성됩니다.

4. 소액거래/안전한보관과 고품질

1g의 작은 소량도 거래를 하기때문에 작은 소액으로도 투자가 가능합니다. 거래되는 금은 한국결제원에서 매수한 금으로 한국조폐공사와 LBMA가 인증한 순도 99.99% 금만거래 되고 있습니다.

KRX 금시장 거래방법

투자 규모가 크지 않고 중장기 투자를 계획한다면
KRX금시장이 가장 유리합니다.

거래시간과 거래방식은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이나 모바일트레이딩시스템(MTS)으로 일반 주식을 매매하는 것과 동일합니다.

KRX금시장에 상장된 종목은 1kg 골드바와 100g 골드바로 두 가지입니다. 올해 거래량을 보면 1kg 골드바의 거래가 100g 미니골드바보다 22배 정도 많은 수치를 보이고 있습니다.

1kg 골드바나 100g 골드바 모두 거래단위는 1g이고 투자자는 7만원 내외로 금에 투자할 수 있으며 실물로 인출하는 경우 각각의 상품에 따라 1kg단위 또는 100g단위로 인출할 수 있습니다.

KRX 금시장 금 투자시 과세비율

가장 저렴한 가격으로 금을 살 수 있는 방법은
KRX 금시장을 통한 금 투자입니다.

KRX 금시장은 실물 인출만 하지 않는다면 장내 거래 시 부가가치세(10%)가 면제되고, 매매차익에 양도소득세나 배당소득세를 물리지 않는 것이 최대 장점입니다.

보유에 따른 수수료가 따로 없기 때문에 장기간 투자에 유리하지만, 거래 때마다 0.3% 안팎의 증권사 매매 수수료가 부과됩니다.

증권사 홈트레이딩시스템(HTS)과 같은 온라인으로 주문하면 0.2% 내외의 수수료로 매매할 수 있으며 은행 골드뱅킹 수수료의 경우 1% 수준입니다.

어떠한 투자수단을 선택하든지 실물인출 시에는 10%의 부가가치세가 부과되며 KRX 금시장, 골드뱅킹, 금은방(실물매수) 모두 마찬가지 입니다. 골드바 실물인출을 원할 경우 거래증권사에 신청하면 한국예탁결제원에 보관된 금을 대체로 2일 이내에 받을 수 있습니다.

실물인출수수료도 대략 2만원 내외로 은행의 골드뱅킹 등 다른 투자수단 대비 가장 저렴합니다. 금 시세 변동에 따른 차익을 노리는 투자자의 경우 실물인출을 하지 않는 경우가 대부분입니다.

그 밖의 금 투자 거래방법

국내외 ETF를 비롯해 골드바와 금 채굴회사 5가지 금 투자 방법과 KRX 금 거래소 이용 방법 - HintAbout 펀드 등
금 투자에 대한 방식이 여러가지입니다.

골드바

1. 국내 금 관련 ETF

국내 증시에 상장되어 있어 주식처럼 간편하게 매매가 가능하며, 증권거래세도 없습니다.

매매차익에 대하여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부과되는데 금융소득 합계액이 2천만원을 초과하는 금융소득종합과세 대상자는 세부담이 더 늘어나 세금 측면에서 메리트가 떨어질 수 있습니다.

국내 시장에 상장된 ETF는 금 선물에 투자하기 때문에 실물자산에 투자하는 것과는 차이가 있습니다.

2. 해외 금 관련 ETF

미국 증시에 상장된 ETF는 금 선물이 아닌 금 실물에 투자하는 방법입니다. 매매차익에 대하여는 양도소득세로 과세되며 이 경우 연 250만원까지는 공제되기 때문에 소액투자자에게 세금 부담은 거의 없습니다. 다만, 매매수수료 및 환전수수료가 다소 높을 수 있습니다.

3. 금 채굴회사 펀드

글로벌 금 채굴 회사들의 주가는 금값이 강세일 때 금값 상승률보다 더 많이 오르고, 반대로 금값이 약세일 때 금값 하락률보다 더 많이 내리는 경향이 있어 직접 금에 투자하는 것보다 위험이 더 클 수 있습니다. 주식과는 다르게 매매차익에 대하여는 15.4%의 배당소득세가 과세됩니다.

4. 골드바

매매단위가 커서 소액으로 투자하기가 어렵고, 골드바를 실물로 사고 파는 경우 10% 부가가치세가 과세됩니다.

투자목적, 투자 기간, 매매 규모, 금융소득종합과세 적용 여부 등에 따라 적합한 투자 방식은 달라질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자신에게 맞는 투자 방법을 찾아 투자하는 것이 좋습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