선물거래의 구성요소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6월 27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선물의 이름 및 증권사 MTS 주문화면

아웃라이트 포지션에 의한 투기거래

이번회에서는 외환투기거래중의 하나인 아웃라이트 포지션 (outright
position)에 의거한 투기거래에 관하여 소개하겠다. 이 거래는 투기거래
형태중 가장 단순한 거래로 단지 거래자의 선물가격예측에 의거,"Buy
Low,Sell High"원칙에 따라 해당선물가격흐름에 따른 가격차액을
극대화함을 동기로 하는 거래 형태이다.
아웃라이트 포지션에 의거한 투기거래는 만약 해당선물상품의 가격이
상승하리라 예측되면 해당선물상품에 매입계약포지션을 취한다. 반면에
해당선물상품의 가격이 하락하리라 예측되면 매도계약포지션을 취하여
거래자의 예상적중 후 계약을 청산함으로써 계약가격차이에 의한
거래이익을 득함을 원칙으로 하고 있다.
이 거래의 특징은 다른 선물거래보다 거래에 따른 가격변동위험이 매우
크기때문에 계약당 증거금의 예치량도 가장 많이 부과되며 계약보유기간
역시 대체로 며칠 또는 몇주로서 비교적 장기거래 형태에 속한다. 따라서
이러한 거래의 시행은 주로 해당선물상품시장의 참여자들보다 예측능력이
탁월한 거래자들(장내 또는 장외거래자)에 의하여 이루어지며 이의
시행시기는 해당 선물상품 가격결정에 영향을 미치는 결정요소의 발표,예를
들면 국가의 주요 경제정책의 발표 이전에 이루어지는 것이 통상적이다.
이 거래의 시행원칙은 다음과 같다. 만약 가격상승예상시 행당
선물상품에 매입계약포지션을 취하고 가격하락예상시는 매도계약포지션을
취한 뒤 거래자의 예상 적중후 매매계약청산을 통하여 최초 계약시
선물가격과 청산시 선물가격간의 가격차액을 목표로 한다. 이러한 거래의
시행에 있어 매우 중요한 점은 1해당선물가격의 미래상황을 정확히
판단하고 2거래자의 예상적중 후 발생된 이익을 효율적으로 관리하며 3또한
설사 거래자의 빗나간 예상 혹은 시장상황의 급변으로 인하여 거래자의
포지션에 매매손실이 발생할경우 손실을 줄일 수 있는 판단 능력이다.
물론 이 거래 시행시 원월물상품을 피하고 근월물상품을 선택하는 것도
바람직한 거래 전략중의 하나 이기도 하다.
다음의 사례를 들어 아웃라이트 포지션에 의거한 투기거래를 살펴보자.
가령 어느 거래자가 1991년12월16일 최근 미국의 불경기심화와 일본
무역수지의 호조 발표,그리고 그의 차트분석및 선물거래경험에 의거,곧
미국의 금리인하 단행조치를 예견하였다. 이에 거래자는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향후 엔화 강세
예측하에 미국 시카코상업거래소(CME)산하의 IMM외환선물시장에서
1991년12월16일 92년3월물 엔화 통화선물계약에 매입계약포지션을
취하였다. 이 선물 계약후 1991년12월20일 거래자의 예상대로 미
연방준비은행은 재할인율을 4.5%에서 3.5%로 인하했다.
그로 인한 엔화의 대미환율이 강세를 보이자 1991년12월30일 그의
기존선물계약에 반대 포지션을 취함으로써 거래자는 엔화 통화선물 한
단위당 US $0. 000175 <=(0. 7921-0. 7746)x0. 01>,그리고 엔화
통화선물 한 계약당 US $2,187. 50<=(0. 000175x12,500,000)>의
매매이익을 보았다.
이창길(제일선물경제 컨설팅대표)

국회전자도서관에 처음 방문이세요?

국회도서관 서비스 이용에 대한 안내를 해드립니다.

자료 카테고리

검색결과제한

  • 국회부산도서관[부산관] (1)

pdf 파일 아이콘

협정기관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협정기관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국회도서관 방문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국회도서관 방문 이용자용 pdf 파일 아이콘

원문아이콘이 없는 자료는 국회도서관에 방문하여 책자로만 이용이 가능합니다.

  • 원문보기 (음성지원)

자원이 부족한 우리나라는 자재를 수입가공하고 제품을 생산하여 국내시장과 해외시장에 공급하는 가공업을 중심으로 발전하였다. 산업의 기초 원자재를 해외 수입에 의존하고 있으며 특히 우리나라는 동, 알루미늄, 아연 등 비철금속의 생산이 소비를 맞출 수 없는 상황이어서 원자재 확보의 안정성이 중요한 변수로 작용하고 있다.

철강재의 수요는 물론 비철금속재의 수요도 지속적으로 증가하고 있는 상황에서도 원광석과 알루미늄 등 주요 지금(ingot)을 전량 수입에 의존하고 있다. 따라서 전기전자, 반도체, 통신, 자동차 등 비철금속을 주 원자재로 사용하는 우리나라의 주요산업들이 비철금속의 가격변동위험에 그대로 노출되어 있다.

계획적인 전략으로 원활한 원자재 공급이 이루어 질 때 우리나라 산업의 안정성은 확보 될 것이다. 본 연구는 이러한 원자재 수요·공급의 안정성을 확보하기 위하여 선행연구의 검토와 문헌연구를 할 것이다.

연구결과는 비철금속을 비롯한 상품선물의 국내 선물시장 상장거래의 성공을 위해서는 상장품목의 신중한 선택과 함께 유동성을 확보할 수 있는 수요개발이 우선되어야 하며 현물시장과의 보완적 균형적 발전이 수반되어야 한다. 요컨대 단기적으로는 해외 선물시장의 활용도를 높이는 방안을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강구하는 한편 국내 선물시장에 상장하여 거래를 활성화하기 위한 제반 여건을 지속적으로 조성하여야 할 것이다.

, detailInfo=IndexMasterBean(seqNo=106832512, controlNo=KDMT1201154489, createDt=20110825, modifyDt=20131109, cdDbGroup=KDMT_ALL, cdDbSub=KDMT, cdDataType=11, schemaNo=1, dpTitleFull=비철금속산업의 선물시장 활용에 관한 연구 / 이근식, dpTitle=비철금속산업의 선물시장 활용에 관한 연구 , dpAuthor=이근식, dpPub=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dpPubDate=2011.8, dpCallNo=TM 658 -11-898, dpIsbn=null, dpIssn=null, dpDdc=658, dpBranch=BNK, dpLocation=[부산관] 학위논문서고(320호), dpPopular=30, dpPubArea=서울 , dpPlaceCode=Thesis(학위논문 석사), dpItemNo=4201141804, ET0000163370, dpSereNm=null, cdDegreeDiv=학위논문(석사), dpPubCountry=ko, dpTranslation=null, dpLawType=null, dpDatabase=null, dpProcTitle=null, dpProcCommit=null, dpNabiTh=null, dpNabiSec=null, dpNabiStatus=null, dpNabiStep=null, titleSort=비철금속산업의선물시장활용에관한연구, authorSort=이근식, pubSort=한양대학교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title=비철금속산업의 선물시장 활용에 관한 연구 /, author=이근식 이근식 이근식 이근식 이근식, pub=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subject=비철금속산업의 선물시장 활용에 관한 연구 / 중국 세계비철금속수급 구리 알루미늄 아연 선물거래법 헷징 Hedging 런던금속거래소 매도헷징 매입헷징, callNo=TM 658 -11-898, tocPath=/repo-svc/nadl/data001/data-db1-pdf/kdmt005/PDF/1203/KDMT1201154489/KDMT1201154489.toc, absPath=/repo-svc/extra/abs001/data-db1-abs/kdmt001/irm-abs/20121203/KDMT1201154489.txt, docPath=/repo-svc/nadl/data001/data-db1-pdf/kdmt005/PDF/1203/KDMT1201154489/KDMT1201154489.pdf, docPath2=null, expPath=null, isbn=null, issn=null, cis=null, kdmtProf=이은정, major=null, serTitle=null, content=null, lawNo=null, committee=null, lawRelation=null, authorId=null, authorSub=null, cdCountry=null, cdLawDiv=null, cdLang=kor, docCount=1, docFeeYn=N, placeNo=TM, ddc=658 658, absYn=Y, kdmtDegreeYn=null, cdSerCycle=null, assemConfer=null, assemDaesu=null, assemOrder=null, assemCommit=null, cdLawType=null, cdNabiStatus=null, refdType=null, pubDate=2011, revisionDate=null, signDate=null,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enactDate=null, startDate=null, endDate=null, refdSource=null, cdLangOrg=null, docNo=null, knowPubCode=null, linkControlNo=null, page=110, docIsdbEmp=Y, docIsdbPub=Y, subjectLaw=null, cdLawYn=N, sereNm=null, cdAssemYn=N, docSvc=10, docBlind=null, docTtsEmp=Y, docTtsPub=Y, docDownEmp=Y, docDownPub=Y, docSubject=null, ebookYn=N, linkUrl=null, linkUrlDbdiv=null,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docItemPath=null, docType=TXT, sysCreateDt=20211202, sysUpdateDt=20220802, sysDeleteDt=N, sysBlindYn=null, sysMetaYn=null, sysDocYn=null, docTts=Y, docDown=Y, cdDataDiv=10, docIsdb=Y, nabiBillId=null, nabiBillNo=null, kciYn=N, cdSellType=N, copyNo=null, docFileNo=9563262, covPath=null, docPermit=A0, docSvcEmp=10, docSvcPub=10, tocFileNo=9563276, absFileNo=22155940, expFileNo=null, knowPubGroup=ETC, docPermitUse=null, authorProfYn=N, tlawPubDate=null, wnetSubject=경영학,, dicSubject=중국 세계비철금속수급 구리 알루미늄 아연 선물거래법 헷징 Hedging 런던금속거래소 매도헷징 매입헷징, sysArrangeEndDt=20111005, cdDbDiv=KDMT, cdMarcType=BK, dlLawRelation=null, dpPopularScore=47, bookSummary=null, dpPubYear=2011, volumeNo=null, printNo=PRINT62, detailPub=서울 :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8, detailForm=viii, 99 p. ; 26 cm, detailRemark=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경영학, 2011.8. 지도교수: 이은정, detailAppend=null, detailSeries=null, tlawUscTitle=null, detailEdition=null, bookshelfCode=BTS00,ER00, url=null, blindCode=N, tdTlawName=null, tdOlawName=null, tdTranslatorName=null, tdCountryName=null, tdEnactmentDate=null, tdRevisionDate=null, tdEnActmentNo=null, tdRevisionNo=null, tdKoLawDivCode=null, tdLawClassName=null, tdUscTitle=null, tdDomesticLaw1Name=null, tdStandingCommittee1Name=null, tdKoLawDivName=null, tdOtherLawName=null, tdEnactmentName=null, tdPackNo=null, tdRemark=null, tdSourceTitle=null, o_pack_name=null, o_other_law_name=null, o_enactment_date=null, o_enactment_no=null, o_revision_date=null, o_revision_no=null, o_law_div_code=null, o_law_classification1_code=null, usc_title=null, o_domestic_law1_name=null, o_standing_committee1_name=null, extra1=N, extra2=null, extra3=null, extra4=null, extra5=null), authorProfYn=N, dpBranchMenuMap=>, goodMeterialMap=<>, docMenuMap=], menuCode=Y, sortOrder=1, count=1, menuId=GROUP_DOC_ISDB_Y, menuName=원문 있는 자료, menuType=isdb>, GROUP_DOC_TTS_PUB_Y=, GROUP_DOC_DOWN_PUB_Y=>, linkUrlInfo=, detailItemBeanList=[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P_TITLE_FULL, name=논문명/저자명, text=비철금속산업의 선물시장 활용에 관한 연구 / 이근식),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ETAIL_PUB, name=발행사항, text=서울 :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2011.8),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P_CALL_NO, name=청구기호, text=TM 658 -11-898),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ETAIL_FORM, name=형태사항, text=viii, 99 p. ; 26 cm),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P_LOCATION, name=자료실, text=[부산관] 학위논문서고(320호)),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CONTROL_NO, name=제어번호, text=KDMT1201154489),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ETAIL_REMARK, name=주기사항, text=학위논문(석사) -- 한양대학교 산업경영디자인대학원, 경영학, 2011.8. 지도교수: 이은정), InnerSearchDetailItemBean(dbDiv=KDMT, label=DOC_COUNT, name=원문, text=1)], locationList=[], naverAcademic=<>, languageMenuMap=>, expFileContents=, topMenuCountMap=, publicationYearMenuMap=, isExistPolicyData=false, cdDbSub=KDMT, tocFileContents=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주가가 하락해도 돈을 버는 선물∙옵션 투자전략

주식투자는 주가가 상승해야 이익을 얻을 수 있다. 그런데 주가가 하락하거나 보합인데도 돈을 벌수 있는 것이 있다. 그것은 선물,옵션 투자다. 주식은 경기가 좋아야 이익을 얻을 개연성이 많지만, 선물,옵션은 경기에 상관없이 어느 때든 투자전략의 기본을 잘 익히고 적절히 사용한다면 꾸준히 돈을 벌 수 있다. 이 책은 이러한 선물, 옵션의 다양한 투자전략을 소개하고 어떤 상황에서 이 전략들을 사용하는지를 소개하는 안내서이다. 이 책에 있는 내용을 숙지한다면 보다 넓은 투자의 기회가 당신 앞에 펼쳐질 것이다.

1968년 대전에서 출생
현대투자증권(한화증권에 합병), 미래에셋증권에서 펀드, 주식, 선물옵션 영업
시스템트레이딩을 주로 하는 투자자문회사에서 선물옵션운용, 랩 어카운트 운용
집합투자자산운용사, 일임투자자산운용사, 파생상품투자상담사 등 금융자격 다수 보유
이메일 [email protected]

머리말
선물․옵션에 대한 오해 3

1장 선물․옵션 기본 개념 12
1. 선물의 정의 12
2. 옵션의 정의 17
3. 선물․옵션의 기원 및 거래대상 19
- 선물․옵션의 기원 19
- 선물․옵션의 거래대상 21
4. 선물․옵션투자의 장점 22
- 주가 방향에 상관없이 이익 창출 22
- 레버리지를 이용해 고수익 창출 가능 23
- 비용이 저렴하다 24

2장 선물의 기초이론 25
1. KOSPI 200 지수와 KOSPI 200 선물 25
2. KOSPI 200 선물의 거래단위, 약정금액 27
3. 미결제약정 28
4. 증거금과 일일정산 29
5. 선물거래의 손익구조 33
6. 선물의 이론가격 36
7. 베이시스와 괴리율 39

3장 선물 투자전략 43
1. 투기거래 45
2. 헤지거래 51
3. 차익거래 55
- 차익거래불가능 가격대 55
- 투기적 차익거래 56
- 현물 바스겟의 구성 59
4. 스프레드거래 62
- 상품내 스프레드 64
- 상품간 스프레드 65
- 시장간 스프레드 66

4장 옵션의 기초이론 68
1. 선물과 옵션의 차이점 68
- 손익구조의 비대칭성 68
- 가치의 소모성 69
- 권리와 의무의 분리 69
2. 옵션의 거래단위, 약정금액, 프리미엄 71
3. 옵션가격의 구성요소 73
- 내재가치 73
- 시간가치 76
4. 옵션의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손익구조 81
5. 옵션의 가격결정 92
- 옵션의 가격결정 요인 92
- 기초자산(KOSPI 200)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94
- 행사가격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96
-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잔존기간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97
- 기초자산의 가격변동성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100
- 단기금리 이자율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106
- 배당과 프리미엄과의 관계 106
6. 옵션 이론가격 산정(선물거래의 구성요소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블랙-숄즈모형) 109
7. 풋-콜 패리티 113
- C-P = S-e-rt×X 114
- 합성 포지션(synthetic position) 118
8. 옵션의 위험관리지표(민감도) 분석 123
- 델타 125
- 감마 131
- 세타 136
- 베가 138
- 로우 143
- 위험관리지표(민감도)의 정리 145

5장 옵션 투자전략 148
1. 옵션 투자전략의 분류 148
2. 내재가치의 변화에 중점을 둔 전략 153
- 콜옵션 매수, 콜옵션 매도 154
- 합성 콜옵션 매수, 합성 콜옵션 매도 161
- 풋옵션 매수, 풋옵션 매도 167
- 합성 풋옵션 매수, 합성 풋옵션 매도 173
- 합성선물 매수, 합성선물 매도 179
- 콤보 매도, 콤보 매수 185
- 수직 강세 콜 스프레드, 수직 강세 풋 스프레드 197
- 수직 약세 콜 스프레드, 수직 약세 풋 스프레드 206
3. 시간가치의 변화에 중점을 둔 투자전략 217
- 스트래들 매수, 스트래들 매도 219
- 스트랩 매수, 스트랩 매도 231
- 스트립 매수, 스트립 매도 240
- 스트랭글 매수, 스트랭글 매도 249
- 거트 매수, 거트 매도 258
- 버터플라이 매도, 버터플라이 매수 265
- 아이언 버터플라이 매수, 아이언 버터플라이 매도
280
- 콘도어 매수, 콘도어 매도 291
- 아이언 콘도어 매수, 아이언 콘도어 매도 305
- 콜 백 스프레드, 풋 백 스프레드 318
- 콜 레이쇼 스프레드, 풋 레이쇼 스프레드 325
- 시간 스프레드 매수, 시간 스프레드 매도 334
- 대각 스프레드 매수, 대각 스프레드 매도 345
4. 헤지거래 전략 349
- 커버드(보증된) 콜 350
- 프로텍티브(방어적) 풋 355
- 역 커버드 콜(커버드 풋) 360
- 역 프로텍티브 풋(프로텍티브 콜) 364
5. 차익거래 전략 370
- 컨버전, 리버설 373
- 크레딧 박스, 데빗 박스 378
6. 옵션 투자전략의 정리 384

6장 선물․옵션투자에 임하는 자세와 투자원칙
390
1. 투자에 임하는 자세 390
- 총성 없는 전쟁터 390
- 심리적 안정감 유지 392
- 얻는 것보다 잃지 않는 것이 중요 393
- 투자원칙 설정과 이에 대한 철저한 준수 394
2. 매매원칙 396
- 적정 레버리지 유지 397
- 스탑로스의 철저한 준수 401
- 포지션 진입을 서두르지 마라 405
- 이익은 최대한 확보하라 407

▶ 표준정규분포 누적확률값 409
▶ 참고문헌 410

「주가가 하락해도 돈을 버는 선물․옵션 투자전략」이란 책은 금융투자의 첨단무기인 선물․옵션을 이해하고, 기본적인 투자전략을 충실히 활용할 수 있도록 설명하였다. 재테크 또는 금융투자라는 용어를 접하면 사람들은 흔히 주식, 채권, 펀드투자 등을 생각한다. 한발 더 나가면 ELS, ELD, ELW 투자를 생각한다. 그런데 선물과 옵션을 이해하고 이에 대한 기본적인 투자전략을 알게 되면 위에 열거한 투자보다 수십 배, 아니 그보다 훨씬 더 다양한 투자를 투자자 자신이 스스로 설계할 수 있게 된다. 게다가 경기의 부침에 구애됨이 없이 투자가 가능하다.

선물․옵션을 이해하는 투자자와 그렇지 못한 투자자의 투자전략 차이는 실로 엄청나다. 이 책은 선물․옵션투자로 한 번에 대박을 터트리는 것을 알려주지는 않는다. 적정 위험대비 수익을 추구하면서 복리효과를 누리며, 꾸준히 투자수익을 쌓아가는 기본적인 투자전략을 설명한다.

이 책은 선물․옵션 중에서도 가장 거래가 많고 대중화 되어 일반인들의 접근이 용이한 KOSPI200 주가지수 선물․옵션을 대상으로 집필하였다. 이 책을 통해 독자 여러분이 선물․옵션을 이해했다면 금융투자의 최첨단 무기를 보유하게 된 것이다. 아울러 투자의 지평을 확장하게 된 것임을 확신한다.

투자는 생존이다

예를 들면, 농산물 유통상인과 농부가 6개월뒤에 미리 정한 가격으로 농산물을 파는 거래를 맺었을때, 우리는 이를 선도거래라고 합니다.

선도거래 예시

선도거래에서는 당장의 현물거래가 아닌, 미래의 '특정한 날짜', 에 '특정한 가격', 으로 '특정한 수량' 을 거래하겠다는 계약을 체결합니다.

위 예시를 통해 농부는 혹시모를 농산물 가격폭락 위험을 미리 피할 수 있고, 농산물 유통상인은 미래에 혹 농산물 생산이 줄어들어 물건을 구하기 어렵거나 가격이 폭등할 위험을 피할 수 있습니다.

즉, 선도거래 판매자인 농부와 구매자인 유통상인 모두 만족하는 결과를 얻을 수 있습니다.

그리고 이러한 선도거래가 표준화, 규모화되면서 발전한 것이 '선물거래' 입니다.

선물거래는 거래소를 통해 표준화된 상품을 정해진 약속과 절차에 따라 거래하기때문에 다수의 참여자가 수월하게 거래할 수 있고, 또한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거래의 이행을 보증하기 때문에 거래 상대방이 약속을 이행하지 않을 위험 또한 없습니다.

선물거래와 선도거래의 차이

2. 주식선물거래와 주식현물거래간의 비교.

그럼, 주식을 선물을 통해 거래할 경우와 현물로 매매할 경우를 비교해 보겠습니다.

먼저 선물은 만기가 있는 상품이라 본질적으로 오랜기간 투자가 어렵습니다.

반면 현물은 회사에 문제가 생기지 않는 이상 무한정 보유할 수 있습니다.

또한 선물투자는 소액의 증거금만 있으면 투자가 가능하므로, 주식 현물 대비 레버리지와 위험이 매우 큰 투자이기도 합니다.

주식선물거래와 주식현물거래의 차이

또한 주식선물은 주식과 같이 증권사 거래 시스템 (MTS/HTS) 을 통해 손쉽게 매매할 수 있습니다.

증권사 MTS 상의 선물옵션 거래 기능

3. 선물거래의 주요 개념.

선물의 기초자산이란 선물계약의 만기일이 되면 인도하기로한(또는 현금으로 정산하기로한) 상품 또는 자산을 의미합니다.

그리고 당연히 선물가격은 이 기초자산의 움직임에 연동하여 변합니다.

선물계약의 기초자산으로는 코스피200과 같은 주가지수, 달러와 같은 통화, 금과 같은 귀금속, 원자재, 농축산물 등 다양한 기초자산이 존재합니다.

선물 기초자산의 종류

ⓑ 만기일/최종거래일 및 최종결제일.

선물은 만기가 있는 상품이기에, 거래가 가능한 마지막날이 있으며, 이를 선물의 '최종거래일' 이라고 합니다.

흔히 선물의 만기일이라고 하면, 이 최종거래일을 뜻합니다.

그러나 최종거래일은 실제로 현물의 인수도가 이루어지는 날은 아니고, 어디까지나 거래소에서 거래가능한 마지막 날을 의미합니다.

만기일(최종거래일) 이후에 실제로 현물의 인수도가 이루어지는 날을 '최종결제일' 또는 '인수도일' 이라고 합니다.

통상 각 개별 선물의 이름을 보면, 인수도(최종결제)가 이루어지는 연도와 월이 언제인지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표시되어 있습니다.

(아래 그림 상단의 선물 이름인 '선물20.06월kp' 참조.)

만기일이 가까운 선물계약을 근월물이라고 하며, 가장 가까운 선물은 최근원물이라고 합니다.

만기일이 많이 남은 선물은 원월물이라고 합니다.

선물의 이름 및 증권사 MTS 주문화면

ⓒ 최종결제방법 (인수도결제, 현금결제).

선물의 최종결제일에 기초자산을 실제로 주고받는 것을 '인수도결제' 라고 합니다. (Physical Settlement)

인수도결제방식의 선물계약을 만기보유 및 최종결제까지 가져가게 되면 선물 매수 포지션을 가진 사람은 보유계약수량에 따라 실물인수대금을 전액 납입해야 하며, 매도 포지션을 가진 사람은 보유계약수량 만큼의 실물을 어떻게든 구해서 인도해야 합니다.

그런데, 이러한 실물인수도 방법이 적용된 선물은 생각지도 못한 위험을 발생시키기도 합니다.

미국 WTI 원유선물 2020년5월물의 경우 전세계적인 생산량이 수요량보다 훨씬 많아 남아돌기 시작하자 2020년3~4월 유가폭락으로 가격이 하락하다가, 선물만기가 다가오면서 실제로 원유선물이 결제되어 현물로 원유를 받더라도 이를 보관할 저장소를 구하기 어려운 상황까지 예상되게 되었고, 당황한 트레이더들이 마구잡이로 팔아버리면서 원유선물가격이 배럴당 마이너스 40$ 수준까지 폭락한 적도 있습니다.

가격이 마이너스였다는 말은 원유를 주면서 돈 한푼 못 받고, 오히려 보관/폐기에 소요될 비용까지 같이 주었다고 볼 수 있습니다.

그러므로 선물 종류별로 최종결제방법은 무엇인지 미리 확인해 두는 것이 좋습니다.

반면, 현금결제는 (Cash Settlement) 최종결제가격을 기준으로 보유중인 선물계약의 최종손익을 계산해서 미정산되는 차액만을 현금으로 결제하는 방식입니다.

현금결제 방식을 택한 선물상품의 경우 최종결제를 실수로 받게 되더라도, 차근월물을 거래하는 방법 등으로 대처 가능합니다.

현금결제의 대표적인 사례는 코스피200과 같은 지수기반의 선물입니다.

이와 같은 지수선물은 실물인도가 현실적으로 불가능하기때문에 현금결제로 진행합니다.

계약단위란 선물거래의 기본 단위로서 선물계약 1건이 의미하는 거래규모를 뜻합니다.

(참고로 하나의 선물거래를 1계약이라고 부릅니다.)

예를 들면, KOSPI200 선물의 경우 선물 1계약은 해당지수에 50만원을 곱한것이 됩니다.

선물의 종류마다 표시방법이 다른데, KOSPI200 선물을 예로 들면, KOSPI 200 지수로 표시하게 되고, 미니금선물의 경우 1g 당 가격으로 표시하게 됩니다.

호가단위는 선물거래를 위한 매수/매도 가격을 정할때의 최소가격변동폭을 의미합니다.

각 선물상품별로 가격대에 맞는 호가의 크기를 표준화 시켜 놓고 있습니다.

선물거래가 이루어진 후 반대매매나 최종결제가 이루어지지 않은 약정을 의미합니다.

미결제약정이 증가한다는 것은 새로운 자금이 들어오는 것이고, 미결제약정이 감소한다는 것은 자금이 선물시장에서 빠져나가고 있다고 볼 수도 있습니다.

이러한 미결제약정은 중요한 선물투자의 지표의 하나로 사용되기도 합니다.

4. 선물거래의 특징.

ⓐ 청산소를 통한 계약이행의 보증.

개인간의 선도거래는 거래상대방이 약속을 이행하지 못할 위험도 있으나, 거래소에서 이루어지는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선물거래의 경우 청산소가 계약의 이행을 보증하기때문에 거래상대방의 신용에 대한 위험을 걱정할 필요가 없습니다.

다른 말로는, 선물매도자 입장에서는 청산소가 매수자가 되어주고, 선물매수자 입장에서는 청산소가 매도자가 되어주는 선물거래의 구성요소 것으로 이해할 수 있습니다.

ⓑ 10% 의 증거금만 있으면 거래가 가능. (매우 큰 레버리지 효과 및 높은 위험성.)

선물거래는 지금당장 실물이 오가는 거래가 아닌, 미래 특정시점에 계약을 이행하겠다는 약속을 하는 것이기때문에, 당장 실물에 적용되는 거래대금 전체를 납입할 필요는 없으며 계약이행을 약속하는 증거금만 있으면 거래가 가능합니다.

증거금은 경우에 따라 차이가 있을 수 있으나, 통상 선물계약금액의 10% 이내에서 결정됩니다.

그래서 선물투자는 레버리지효과가 매우 큰 투자로서 투자금대비 고수익도 가능하지만, 반대로 매우 큰 손실도 발생할 수 있는 위험한 투자이기도 합니다.

ⓒ 일일정산제도. (일정 수준의 증거금 유지.)

청산소는 매일 장 종료후 정산가격을 발표합니다.

이 가격을 기준으로 미청산계약에 대한 잠정적인 이익과 손실을 정산하며, 이에 따라 추가로 납부해야하는 증거금 또는 인출가능한 증거금이 정해집니다.

5. 주가지수 선물의 이론가격

주가지수 선물의 경우 이론가격은 보유비용모형 ( Cost-of-carry Model) 을 통해 산출합니다.

주가지수 선물의 이론가격

위와 같은 산식인데, 산식을 구성하는 요소는 다음과 같습니다.

주식선물은 주식현물투자보다 당장 투자해야하는 현금이 매우 작습니다.

그렇기때문에 같은 양의 주식 투자를 가정할 경우, 선물투자의 경우 주식 현물 투자대비 잉여 현금이 발생한다고 볼 수 있으며, 이에 대한 이자수익을 선물의 이론가격에 반영하는 것입니다.

또한 주식선물은 배당을 받을 수는 없으므로, 주식현물에서 발생하는 배당수익률을 가격에서 빼고 이론가격을 결정합니다.

이상 주가지수 선물의 이론가격 산출방법을 소개해 드렸는데요, 선물의 이론가격은 선물의 기초자산이 상품인지, 통화인지 또는 금리/채권인지에 따라 조금씩 산출방식이 달라집니다.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