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마지막 업데이트: 2022년 5월 9일 | 0개 댓글
  • 네이버 블로그 공유하기
  • 네이버 밴드에 공유하기
  • 페이스북 공유하기
  • 트위터 공유하기
  • 카카오스토리 공유하기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021년 대규모 투자유치 현황

초기 단계의 창업기업들의 경우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축적된 실적이 없는관계로, 기업과 투자자 간에는 항상 정보의 비대칭 문제가 존재한다. 이에 자원 확보의가능성을 향상시키기 위한 전략으로서 자신들의 기술 및 시장 잠재력을 알릴 수 있는'신호'를 활용하는 전략이 강조되어 왔다. 정부지원은 공정하고 치열한 경쟁과정을거친다는 점에서 초기 창업기업에 대해 보다 객관적인 정보를 제공하고 기업의 역량및 잠재력을 보증하는 신호 기능을 수행할 수 있다. 본 연구에서는 허들 모형을 활용하여정부지원 및 투자유치 간 양적 관계를 확인하고자 하였다. 분석 결과, 정부지원규모와투자유치규모 간 비례적 관계를 가지지만, 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넘어서는 데는 일정 규모 이상의 정부지원이 요구되는 것으로 나타났다. 이러한 결과는투자유치여부와 투자유치규모가 결정되는 메커니즘이 상이한 만큼, 신호이론 관점의연구들이 투자유치과정의 허들 구조를 고려할 필요가 있음을 시사한다. 또한 초기 단계의기술창업기업이 첫 투자를 유치하는 단계를 넘어서는 데 도움을 줄 수 있는, 즉 ‘문지방효과’ 창출에 특화된 지원방법이 모색될 필요가 있다고 하겠다.

There often is information asymmetry between start-ups and the investors, which is because start-up companies in the early stages do not have track records. Meanwhile, since the government grants programs go through a fair and the intense competition process, the government grants can provide a more objective information for start-ups in the early stages and perform a signal function that guarantees a company's capabilities and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potential. This study confirms the quantitative relationship between government grants and investment attraction by using the hurdler model. We found that, although there is the proportionate relationship between the scale of government grants and that of external funds, more than a certain amount of government grants is required for technology-based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start-ups to exceed the stage of attracting their first external funds. Our findings suggest that it is necessary to consider the hurdles structure in the study of signaling theory perspective, as the mechanisms for determining whether or not to attract external funds are different from determining the level of external funds. In addition, differentiated policy support is needed to help early-stage technology start-ups go beyond the threshold of investment attraction―the creation of a ‘threshold effect'.

비주얼 IT

부가서비스

서비스 안내

패밀리 미디어

스타트업 투자 유치, 올해 '10조원' 넘는다

정부 정책 지원·제2 벤처붐 효과
10월까지 9조대…작년 금액 돌파

Photo Image

📁관련 통계자료 다운로드 2021년 대규모 투자유치 현황

올해 국내 스타트업 투자 유치 금액이 10조원을 돌파할 것으로 전망된다. 정부의 정책 지원과 '제2 벤처 붐'으로 불릴 정도의 창업·투자 열기가 맞물린 결과로 풀이된다. 스타트업 모임인 스타트업얼라이언스에 따르면 올해 10월까지 스타트업이 유치한 투자 금액이 약 9조4033억원에 이르는 것으로 나타났다. 통계는 창업투자회사, 신기술사업금융회사, 외국인 등 투자 주체와 관계없이 수요자인 기업이 국내외에서 투자 유치한 내역(10억원 미만의 소규모 투자나 비공개 투자 등은 제외)을 집계한 결과다.

스타트업얼라이언스는 올해부터 월별 투자 유치 금액을 상세하게 집계하기 시작, 지난해와 직접 비교는 어렵다. 다만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지난해 국내 투자 기관들이 집행한 규모(9조815억원)와 비교하면 10월에 이미 지난해 전체 규모를 넘어섰다. 여기에 10억원 이하 소규모 투자, 전략 투자, 개인 투자 등을 더하면 금액은 훨씬 더 커진다.

올해 투자 동향을 보면 5월부터 월간 투자 규모가 1조원을 넘었고, 7월에 월간 투자 규모 3조원에 육박하며 정점을 찍었다. 이후 8~10월 3개월 연속 투자 규모가 감소했다. 현 추세라면 연간 누적 투자로 사상 첫 10조원 돌파가 무난할 것으로 전망된다.

올해 스타트업 투자가 급증한 것은 정부 지원정책과 창업 분위기가 시너지를 냈기 때문이다. 중소벤처기업부는 지난해와 올해 2년 연속 모태펀드를 1조원 이상으로 조성하며 투자 마중물 역할을 했다. 투자가 꾸준히 이뤄지면서 스타트업 생태계에 우수 인재가 많이 유입됐고, 창업도 활성화됐다. 그 결과 유니콘 기업(기업 가치 1조원 이상의 비상장사)이 15개로 역대 최고를 기록하며 제2 벤처 붐이 일고 있다.


수천억원대 이상의 '빅딜' 투자 유치가 늘어난 것도 전체 투자 유치 규모 증대에 큰 몫을 했다. 올해 최대 금액 투자는 야놀자로, 7월 손정의 회장이 이끄는 소프트뱅크그룹의 비전펀드Ⅱ로부터 2조원 투자 유치에 성공했다. 또 눔 6027억원, 비바리퍼블리카 4600억원, 티몬 3050억원, 뤼이드 2000억원, 아이유노미디어그룹 1800억원, 무신사 1300억원 등 대형 투자가 활발했다. 최항집 스타트업얼라이언스 센터장은 22일 “투자가 연말에 몰리는 경향이 있어 올 4분기에도 투자 유치가 늘 것으로 예상된다”면서 “전략 투자나 비공개 투자 등 집계에 빠지는 것까지 감안하면 올해 총 투자 유치 규모는 최대 15조원에 이를 수 있다”고 말했다.

[더오래]스타트업에 투자할 때 꼭 따져야 할 3가지

스타트업의 주주총회는 지난 회계연도의 성과와 다가온 새해 계획에 대해 경영진과 주주들이 마주 앉아서 공유하고 논의하는 자리다. 특히 외부 주주인 벤처캐피탈을 비롯한 투자자들로부터 때로는 격려와 감사를, 때로는 비판과 조언을 나누기도 한다. 주주총회를 경험할 때마다 매번 느끼는 것은 경영진과 사업에 대한 애정과 관심을 쏟는 게 좋은 투자자라는 점이다. 좋은 투자자를 만나기 위해 중요하지만 별로 언급되지 않거나 자주 간과되는 것을 간략하게 소개한다.

투자유치 활동은 상상 이상으로 고된 작업이다. 실리콘밸리에선 투자 유치에 소요되는 시간이 과거보다 많이 단축돼 첫 피치부터 투자금 또는 주금 납입까지 평균 10주 정도 걸린다고 한다. 각종 문서 작업 등 투자유치를 위한 사전 작업까지 고려한다면 10주를 훌쩍 넘어 수개월의 기간이 필요하다. 사업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진행과 더불어 투자유치 활동까지 해야 하니 극강의 집중력과 체력 소모를 각오해야 하는 작업이다. 여러 벤처캐피탈을 대상으로 진행하는 작업임을 고려하면 수개월 동안 두 개 이상의 풀타임 직무가 생긴 상황이라 이해하면 좋을 것이다. 이 과정을 쉽게 넘어간 경우가 주변에 있다면 아마최고의 외부 자문사를 고용했거나, 정말 운이 좋아서가 아닐까 싶을 정도다.

투자유치 활동은 상상 이상으로 엄청나게 고된 작업이다. 각종 문서 작업 등 투자 유치를 위한 사전 작업까지 감안한다면 10주를 훌쩍 넘어 수 개월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 [사진 pixabay]

투자유치 활동은 상상 이상으로 엄청나게 고된 작업이다. 각종 문서 작업 등 투자 유치를 위한 사전 작업까지 감안한다면 10주를 훌쩍 넘어 수 개월의 기간을 필요로 한다. [사진 pixabay]

투자유치 작업에 집중한다며 사업 진행을 상대적으로 소홀히 하는 CEO를 간혹 발견한다. 심지어 사업 진행을 위한 제품 개발, 마케팅 등의 핵심 인력까지 총동원해 투자유치 작업을 진행하는 사람도 있다. 물론, 초기 스타트업은 워낙 적은 인력으로 투자유치를 진행해야 하므로 피할 수 없는 상황이지만, 이를 경계하고 효율적으로 일할 수 있는 방법을 마련해야 한다.

투자유치는 오랜 시간을 소요하는 작업이기 때문에 핵심 인력이 여기에 지나치게 매달리게 되면 사업 진행에도 큰 차질을 빚기 쉽다. 스타트업이 투자유치 기간 사업 성장에 신경을 써야 하는 이유는 다음과 같다. 투자유치의 목적은 사업을 키우기 위함인데, 오히려 업무에 차질을 빚는다는 것은 아이러니다. 투자자는 스타트업이 투자받은 자금으로 얼마나 성장과 사업 내실화를 기하는지 끊임없이 확인하려고 한다.

따라서 투자 유치 기간 지속해서 성장하는 모습을 보여준다면 투자 유치의 성공 가능성을 높여줄 것이다. 투자 유치에 실패한다고 사업을 접어야 하는 상황에 처할 스타트업을 투자자가 좋게 바라볼 이유는 없다. 스타트업의 많은 인력이 투자유치 작업에 매달리는 상황에 빠지다 보면 내가 개발자인지 마케터인지, 아니면 투자유치 전문가인지 혼란에 빠지기도 한다. 투자유치 작업과 사업 진행을 동시에 한다는 것은 초기 스타트업에게 극한의 고통을 안겨 줄 것이다. 적절한 자문을 얻을 수 있는 외부 전문가의 도움을 받는 것을 추천한다. 사업의 성장과 내실 강화를 위해 투자 유치가 필요하다면 피할 수 없는 과정이다.

조금 주제를 바꿔서 스타트업에게도 10조원 넘는다 - 전자신문 훌륭한 파트너가 되면서 투자 성과도 좋은 투자자가 되기 위해선 어떻게 해야 하는지 살펴보자. 스타트업이 투자자와 계약서에 서명한 후 계약 이행까지 3주에서 1개월이 추가로 걸리기도 하는데, 이 기간을 단축할 필요가 있다.

뛰어난 스타트업에 큰 금액을 투자할수록 투자 성과는 좋아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일반적 투자 또는 인수합병 사례와는 달리 스타트업 투자는 사업 실패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힘들다. [사진 pxhere]

뛰어난 스타트업에 큰 금액을 투자할수록 투자 성과는 좋아지기 마련이다. 그러나 일반적 투자 또는 인수합병 사례와는 달리 스타트업 투자는 사업 실패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힘들다. [사진 pxhere]

계약서에 서명했다는 것은 중요한 이슈에 대한 검토가 상당 부분 끝났음을 의미한다. 그런데도 추가적 검토가 필요하다며 시간을 더 갖는 것은 화를 자초할 수 있다. 역량 있는 스타트업은 사업 성장이 두드러질 것이기 때문에 다른 투자자로부터 더 좋은 조건으로 투자 제안을 받을 가능성이 크다. 아무리 배타적 우선협상권을 갖고 있다 해도 불필요한 시간을 추가로 들여 스타트업의 기분을 상하게 해선 좋을 것이 없다. 투자 유치와 관련해 시간을 끌수록 스타트업에게는 불리하고 투자자에게 유리하다는 의견이 있긴 하지만, 유망 스타트업이 하루하루 급성장하는 경우엔 사정이 다르다.

투자 성과는 스타트업 역량, 투자 당시 스타트업 가치, 투자 규모 3가지에 의해 대부분 결정된다. 즉, 뛰어난 스타트업에 투자자에게 유리한 기업가치로 큰 금액을 투자할수록 투자 성과는 좋아지기 마련이다. 인수 합병이나 일반적 투자와 달리 스타트업 투자는 사업 실패로부터 투자자를 보호하기 힘들다. 그런데도 일부 투자기관의 담당자들은 투자 실패에 대한 책임을 회피하는 하기 위해 면피성 보험 성격의 계약 조건 협상에 시간을 허비하는 경우가 많다.

스타트업 투자는 첫 만남부터 실사까지 반드시 최대한 스타트업을 주도면밀하게 조사하고 분석해야만 한다. 일단 투자한 회사는 경영진과 고충을 함께 나누고 공감하는 것이 투자 성과를 내는 길이다.

삶과 도시의 대전환 지속가능한 환동해중심도시 포항

페이스북 유튜브 트위터 블로그 포항시 인스타그램

홈

> 분야별 정보 메뉴 더보기 > 투자 메뉴 더보기 > 투자환경 메뉴 더보기 > 투자유치자료실 메뉴 더보기

홈

> 함께하는 포항 > 시민참여 > 시민아이디어 공모 > 안내


0 개 댓글

답장을 남겨주세요